HRNK, ‘북 인권 유린과 제재’ 대규모 토론회

스칼라튜 사무총장
스칼라튜 사무총장 (RFA PHOTO/ 이진서)

0:00 / 0:00

앵커 : 미국과 한국의 북한인권 정책을 조명하는 국제 토론회가 오는 16일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됩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의 대표적 인권단체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미국과 한국의 대북 인권 정책을 주제로 대규모 토론회(U.S. and ROK Policy Toward North Korean Human Rights)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 북한인권위원회는 오는 16일 워싱턴의 언론회관에서 한국의 국가인권위원회(NHRCK)와 공동으로 미국과 한국의 북한 인권 개선 방안과 정책에 관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이번 행사가 내년 초 출범하는 새 행정부의 북한 인권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제1부에서는 북한의 인권유린 가해자에 대한 제재(Sanctions on Human Rights Abusers in North Korea)를 다루고, 이어 제2부에서는 한미 북한인권 정책 검토와 전망(South Korea and U.S. North Korean Human Rights Policies Review and Prospects)에 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한국 국가인권위원회의 한위수 인권위원,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단 미국측 대표를 지낸 윌리엄 뉴컴 박사와 미국의 제재 전문가 조슈아 스탠튼 변호사 등이 북한의 인권유린 가해자에 대한 제재를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 7월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등 개인 15명과 기관 8곳을 인권 유린 책임자로 적시한 보고서(Report on Human Rights Abuses and Censorship in North Korea)를 의회에 제출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재무부는 사상 처음으로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 등 인권 유린 가해자를 미국의 대북 제재 대상 목록에 올리고 이들의 미국 입국 금지와 미국 내 자금 동결 등의 조치를 취했습니다. 지난 2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대북제재강화법(North Korea Sanctions and Policy Enhancement Act of 2016, Section 304(a))에 따른 조치입니다.

토론회 제2부에서는 미국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를 역임한 로베르타 코헨 북한인권위원회 명예 공동의장, 북한자유연합 수잔 숄티 대표, 의회조사국의 마크 매닌(Mark Manyin) 박사와 한국의 라종일 전 영국주재 대사 등이 한미 양국의 대북 인권 정책을 조명합니다.

한편, 이번 토론회에는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 대법관 출신 마이클 커비 전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이성호 위원장,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 특사 등이 참석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