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전역에서 지난 6일 실시된 국민투표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연임이 결정되자 미국의 대북 인권단체들은 차기 행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를 핵심적인 대북정책으로 삼아 줄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 내 인권단체들의 연합체인 ‘북한자유연합’의 수잔 숄티(Suzanne Scholte) 대표는 7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차기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 주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숄티 대표 : 현 오바마 행정부는 경제문제, 중동의 봄 등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가 너무나 많았습니다. 하지만, 재선된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 주민의 심각한 인권 탄압의 현실에 대해 미국이 매우 우려하고 있다는 것을 북한 주민들에게 분명히 알려줘야 합니다.
숄티 대표는 최근에는 대북 방송이나 전단을 통해 북한 주민들이 외부 세계의 정보를 접할 수 있다면서 미국이 북한 주민의 자유와 인권을 위해서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 지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나서 알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숄티 대표는 한국과 중국에서는 지도자가 바뀌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연임되면서 대북 정책을 펼치는 데 새 지도자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따라서 오바마 대통령이 강력한 한미공조를 바탕으로 국제법을 위반하고 탈북자를 강제북송하는 중국을 압박해 북한 인권 개선에 앞장서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북핵 6자회담이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북한주민의 인권 개선’을 협상의 주제로 내걸 수 있는 적기라는 설명입니다.
미국의 또 다른 인권단체 ‘쥬빌리 캠페인’의 앤 부왈다 대표는 미국과 중국 간의 경제적인 이해관계가 긴밀하게 얽히면서 미국의 외교정책에까지 중국의 영향력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러면서 부왈다 대표는 차기 오바마 행정부는 독재공산정권 하에서 고통받는 북한주민의 자유와 인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부왈다 대표 : 오바마 대통령의 재임기간에 미국 외교정책에 대한 중국의 입김이 어느 때보다 세질 염려가 있습니다. 이것은 북한 주민에 대한 위협이 될 것입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인간은 누구나 독재자로부터 탄압받지 않고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북한 주민에게 알려주도록 최대한 노력해야 할 겁니다.
변호사로서 2004년 10월 제정된 북한인권법의 초안 작성에도 관여한 바 있는 부왈다 대표는 중국 정부의 탈북자 강제북송 정책과 북한 당국의 주민 인권탄압이 얼마나 부당한 지를 국제사회와 북한 주민들에게 계속해서 알려나갈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한편, 미국의 북한인권위원회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도 차기 오바마 행정부가 중국과의 대화에서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 등 북한의 인권문제를 우선적으로 다뤄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는 차기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과의 대화나 대북 원조를 재개할 경우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등 껄끄러운 인권문제를 핵문제 등과 함께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