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는 10일 김정은 정권이 들어선 후 남한과 접촉한 탈북자 등에 대한 단속과 처벌이 강화됐다고 밝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휴먼라이츠워치(HRW)의 존 시프턴(John Sifton) 아시아국장은 최근 한국에 정착한 탈북자 9명을 인터뷰한 결과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집권 이후 과거에 어느 때 보다 국경 수비가 철통 같아졌다고 지적했습니다.
시프턴 국장 : 휴먼라이츠워치는 한국과 미국에 있는 탈북자들로부터 북한의 반 인도적 범죄에 해당하는 인권유린 등에 관한 새로운 증언을 들으려 노력합니다. 특히 새 지도자 김정은 집권 후의 상황에 대해서 최근 탈북자로부터 들으려는 것입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이날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김 제1비서는 외부 세계의 정보 유입을 막기 위해 탈북자를 가혹하게 처벌하고, 이들을 돕는 중개인들에게 엄격한 형벌을 내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내 가족과 정기적으로 연락을 하는 최근 탈북자 9명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 북한은 정보 유입과 유출을 막기 위해 북∙중 국경지대에서 불법 통화자를 감시, 추적, 처벌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북한의 조직적이고 만연한 반 인도적인 인권 유린이 알려지지 않도록 한국에 가족이 있는 북한 주민이나 탈북자를 돕는 사람들에게 침묵을 강요한다는 것입니다. 시프턴 국장은 휴대 전화 추적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통화가 끝난 후에도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되어 주민들이 발각될 위험이 훨씬 높아졌다고 덧붙였습니다.
시프턴 국장은 따라서 휴먼라이츠워치와 같은 인권단체들은 북한에서 자행되는 인권유린의 실태를 계속해서 알려야 할 의무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시프턴 국장 : 저희는 이 같은 실태 조사를 계속해 나갈 것입니다. 지난해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 개선 활동의 동력이 되었습니다. 오랫동안 어떻게 해결해야 할 지 모르던 북한의 인권 문제의 실마리를 찾은 겁니다. 북한이 상당한 압박을 받게 되었습니다.
최고 지도층에 의해 자행된 반 인도적 인권유린이 세계에 알려지고 책임자 처벌이 논의되는 것에 대해 북한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지난해15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 외무상이 유엔 총회에 참석해 회원국 대표연설을 하고,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을 북한으로 초청할 수 있다고 밝히는 등 유엔 회원국들을 설득하려 한 것은 최고 지도자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 등에 대한 북한의 중압감을 나타낸다는 지적입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북중 국경지대에서 불법 휴대전화 사용시 강제노역과 만성적 식량 부족에 시달리는 교화소 심지어 정치범수용소에 수감되는 일이 증가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정은 정권 들어 탈북자와 정보 유통에 대한 단속과 처벌이 강화됐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들의 불법행위를 눈감아 주려는 국경수비대나 중개인 수도 급격히 감소했다고 휴먼라이츠워치는 지적했습니다.
한 탈북자는 2012년 한국과 통화 중 발각돼 정치범 수용소 행을 모면하기 위해 중국돈 3만 위안, 미화 4천 800 달러를 경찰에 뇌물로 주고 풀려났다고 밝혔습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지난해 여름 40명의 탈북자가 중국에서 붙잡히면서 이들의 한국행을 돕는 조선족 중개인들도 대거 체포됐다고 덧붙였습니다.
한 탈북자는 최근 2년 간 탈북자 구출 활동 건수가 80퍼센트에서 90퍼센트 가량 감소했고 2013년부터 북한에서 중국까지 탈북을 돕는 중개인 대부분이 연락이 두절됐다고 밝혔습니다. 또 다른 탈북 중개인은 2013년부터 적어도 6명의 중개인이 체포됐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