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제인권단체들이 북한 당국이 자행한 인권유린 상황을 검토할 유엔 조사위원회 설립을 권고한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의 견해를 지지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전 세계 40여개 인권단체와 개인 인권운동가들의 연합체인 ICNK, 즉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는 지난 주말 성명을 통해 북한 정권의 참혹한 인권 유린 행태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 검토와 관련 조사위원회 설치를 권고한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의 견해를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유엔의 마루즈끼 다루스만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지난 3일 유엔 총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북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자행하고 있는 ‘성분’에 따른 차별 대우와 연좌제 또 정치범 수용소의 임의구금 등을 언급하며 이런 내용들이 반인도적 범죄행위에 해당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 정치범수용소의 참혹한 실태를 고발한 ‘숨겨진 수용소(Hidden Gulag)'의 저자인 데이비드 호크 씨는 2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다루스만 보고관의 이번 보고서는 북한 당국이 대규모로 주민을 임의로 장기 구금하는 것이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한다는 진전된 견해가 반영됐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구체적인 인권유린 상황을 파악하고 관련 증거를 체계적으로 모아 검토할 유엔의 조사 기구가 설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데이비드 호크: 북한의 반인도적 범죄를 구체적으로 조사할 유엔 산하 기구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는 다루스만 보고관의 견해를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가 적극 지지한다는 것입니다.
국제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츠(HRW)의 필 로버트슨 아시아담당 부국장도 성명에서 이제는 유엔 회원국들이 다루스만 보고관의 충고에 귀 기울여 북한 당국의 인권 유린 증거를 검토하고 그들의 반인도 범죄에 대한 공식적인 조사에 착수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로버트슨 부국장은 지난 1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을 방문해서도 휴먼라이츠워치의 2013년 주요 활동 중 하나로 ‘북한 반인도 범죄 유엔 조사위원회’ 구성을 위한 노력을 꼽았습니다.
로버트슨 부국장: 정치범 수용소 등 북한 정권의 반인도적인 범죄 행위에 대한 유엔 조사위원회 설치를 위해 각 정부, 또 인권단체와 접촉하고 있습니다. 유엔이 북한의 광범위하고 조직적인 인권 유린을 조사하고 북한 정권에 책임을 추궁하도록 압박을 가할 예정입니다.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에 참여하고 있는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의 라지프 나라얀 연구원도 성명에서 다루스만 보고관의 보고서는 북한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끔찍한 인권유린을 당하는 상황을 시의 적절하게 상기시켰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관련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세부적인 실태 조사를 위한 기구를 설립해야 한다는 다루스만 보고관의 권고를 유엔 회원국들이 지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유엔 총회에서 인권과 사회 분야를 다루는 제3위원회는 오는 31일 북한 인권 실태에 대한 다루스만 보고관의 보고를 청취하고 대북인권결의안 채택과 관련한 논의를 벌일 예정입니다.
유엔 총회는 지난 2005년부터 7년 연속 북한의 인권상황을 비난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결의를 채택했는데 전문가들은 올해에도 11월 중순 제3위원회를 통과한 결의가 올해 말 유엔 총회 본회의에서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