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일본인 납치자 문제해결을 위한 북일 정부간 합의에 따라, 북한 보위부가 일본인 찾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신분을 속이고 살던 일본인들이 협조하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요즘 북한 내 일본인 납치문제 재조사를 맡은 보위부의 발걸음이 빨라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연락이 닿은 북한의 무역관계자는 "중앙에서 '일본 출신 주민들을 전면 재조사하라'는 지시가 내려와 보위부가 보안부, 인민반 등 조직망을 통해 일본 사람들을 찾고 있다"고 14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보위부가 찾고 있는 대상은 원조상이 일본사람으로, 2차 세계대전 때 북한에 잔류한 사람이거나, 1960년대 만경봉호를 타고 북한으로 간 일본인들로 한정됐습니다.
1959년 첫 북송길이 열린 후 북한으로 간 북송교포 10만명 가운데 조선인 배우자를 따라간 일본인 처와 자녀는 약 7천명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이 관계자는 "보위부가 재포(북송 교포)들 가운데 일본 국적자를 가려내기 위해 귀국자 문건을 다시 뒤지고 있다"며 "지금까지 일본인임을 숨기고 살던 대상자들이 주요 표적이 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4일 "공화국은 7월 4일부터 특별조사위원회를 조직하고 모든 일본인에 대한 포괄적 조사를 개시하게 된다"고 당국차원의 재조사가 실시되고 있음을 표명한 바 있습니다.
특히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직할 부서인 국가안전보위부 부부장이 특별조사위원장에 지명되어 실무 작업을 지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위부가 미확인 미신고 된 일본인을 찾는 데 상당한 애를 먹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선 신분을 속이고 살던 일본인들은 자신이 일본 사람이라는 걸 완강히 부인하자 보위부는 이들과 친한 사람들까지 접근시켜 신상파악에 나서고 있지만, 보위부의 실체를 잘 아는 일본인들은 처벌이 두려워 입을 봉하고 있다는 겁니다.
그러자, 보위부는 "과거를 솔직히 말하면 원수님(김정은) 배려로 본인의 희망에 따라 가족과 함께 일본에 가서 살 수도 있다"고 회유하고 있지만, 일본인들은 북한의 가족들과 함께 남겠다는 말까지 해 곤경에 빠뜨리고 있다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또 정치범 수용소와 산골로 추방돼 사망했거나, 행불자로 남은 일본인들을 처음부터 조사하는 데도 애를 먹고 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미국에 정착한 한 평양 출신 탈북여성은 "한 일본 할머니는 북한에 들어갔다가 살림이 쪼들리게 되자, 괜히 왔다고 말했다가 정치범 수용소에 끌려간 일이 있었는데 일본사람들이 겁먹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재포들 가운데는 일본 가족들의 지원을 받지 못해 1990년대 중반 꽃제비로 살다 사망한 사람들도 적지 않은 데, 이들이 행불자로 처리되어 있어 신원 파악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북한 보위부는 북일 교섭이이 있은 다음 근 한 달 동안 조사를 벌였지만, 예정된 결과가 나오지 않게 되자, 책임이 자기부서에 튀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북한 소식통은 언급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