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일본인 납치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북한과 일본 간 협상이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재일조선인총연합회, 즉 조총련에 대한 '이중적 태도'가 새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5월 중순. 일본 경찰이 허종만 조총련 의장의 차남을 전격 체포했습니다.
죄목은 북한산 송이버섯을 중국산으로 위장해 불법 수입한 혐의.
반면 일본인 납치자문제 해결과 관련해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숨겨져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앞서 지난 3월에도 일본 경찰은 허 의장의 자택을 전격 압수수색하는 등 올 들어 조총련에 대한 압박 수위가 점차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북한은 이에 대응해 노동신문 등을 통해 북일관계 개선을 방해하는 조치라며 일본에 대한 보복을 시사하는 등 표면적으로는 날선 비난을 이어갔습니다.
하지만 허 의장 일가로 대표되는 조총련에 대한 압박 속에서도 북한은 지난 달 20일 중국 상하이에서 일본과 비공식 협의에 응하는 등 사뭇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보기에 따라선 일본인 납치자 문제 해결을 위한 북일 간 협상과 조총련 문제는 별개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일본 언론은 북한이 일본의 ‘조총련 탄압’ 속에서도 이번 협의에 응함으로써 북일 교섭을 계속 이어가고 싶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북한이 이달 초 일본 측에 납치자 재조사 보고서의 제출 기한 연장을 요청한 시점이 마감 시한으로 여겨졌던 조사시작 1주년 이전이었던 점도 교섭지속 의지를 보여준다는 겁니다.
한 때 북한의 해외 자금줄 역할을 했던 조총련.
과거에 비해 초라해 보일만큼 낮아진 위상 탓에 북일 교섭에서도 그리 큰 변수가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