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제재’ 북핵·인권 함께 푸는 접근”

0:00 / 0:00

앵커: 최근 미국이 인권 유린을 이유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제재 명단에 올린 것은 북한 인권 문제를 핵문제 등 안보 문제와 함께 해결하려는 바람직한 접근법이란 지적이 나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12일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인권 관련 청문회에 출석한 미국 ‘조지 W. 부시 연구소(Geroge W. Bush Institute)’의 아만다 슈니쳐(Amanda Schnetzer) 국장은 북한의 인권 문제와 안보 문제를 구별해 다뤄야 한다는 이분법은 잘못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 주민들이 인권을 유린당하면서 내몰리는 강제노동을 통해 북한 정권은 핵개발 자금 등을 마련하는 만큼 북한의 핵문제와 인권 문제를 따로 떼놓고 봐선 곤란하단 설명입니다.

슈니쳐 국장:이른바 '노예노동' 같은 주민들에 대한 북한 당국의 인권유린은 핵개발 자금을 포함하는 김정은 정권의 수입과 직접 연관될 수 있습니다.

슈니쳐 국장은 앞서 2015년 ‘조지 W. 부시 연구소’가 북한의 인권 문제를 핵 위협과 함께 다룰 것(symbiotic)을 권고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오바마 미국 행정부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인권 유린을 이유로 제재 명단에 올린 것은 그런 방향으로 가는 바람직한 접근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날 청문회를 주관한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도 모두 발언에서 북한의 참혹한 인권 상황을 지적했습니다.

로이스 위원장: 북한의 잔인한 김 씨 왕조는 엄청난 규모의, 죽음의 강제수용소에 십만 명 이상의 정치범과 그 가족 모두를 지속적으로 감금하고 있습니다.

한편 영국의 세계기독교연대(CSW)도 12일 성명을 내고 최근 오바마 행정부가 인권 유린을 이유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지도부를 제재 대상에 올린 것을 크게 환영했습니다.

이 단체의 베네딕트 로저스 동아시아 담당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인권 범죄의 책임자로 제재한 미국의 결정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북한의 변화는 이러한 국제사회의 대북 인권압박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