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마루즈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북한이 직접 개입한 외국인 납치문제와 관련 국제사회가 이들의 생사 확인과 책임자 처벌을 집중 거론하는 등 국제사회가 대북압박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다루스만 특별보고관은 9일 북한당국이 자행한 것으로 추정되는 외국인 납치 문제를 국제사회가 집중 조명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이날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에 제출한 북한인권보고서에서 북한인권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가 대북압박을 강화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지난해 유엔 북한인권조사위(COI) 보고서 제출뒤 잠시 국제인권기구의 활동에 협조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다 유엔총회에서 대북 인권결의안이 채택된 뒤 돌변한 북한을 압박하기 위해 이 문제를 집중 제기해야 한다는 겁니다.
보고서는 오는 16일로 예정된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돼 토론될 예정입니다.
앞서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측은 지난 1월 납북자 조사를 위해 일본을 방문한 다루스만 특별보고관의 당시 현장 조사 내용이 이번 보고서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힌바 있습니다.
유엔 관계자 : 일본 정부는 납북자 수를 지금까지 알려진 12명이 아니라 881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다루스만 특별보고관은 3월 16일 유엔 인권 이사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보고서는 북한 요원들이 외국인 납치와 강제실종에 직접 가담한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책임자를 국제형사재판소에 제소하는 등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국과 일본, 중국, 레바논, 말레이시아 등 피해 국가가 많아 국제사회가 이 문제를 중심으로 연대할 여지가 많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총회, 인권이사회가 외국인 납치와 강제실종 문제를 지속적으로 다뤄야 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또 유엔뿐 아니라 동아시아정상회의(EAS)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같은 지역연합체와 비정부기구 등도 이 문제에 관심을 기울일 것을 호소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