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 국무부의 대북인권특사 소속 관리는 24일 미국 상원에서 만장일치로 인준된 로버트 킹 대북인권특사가 이날 취임 선서를 하고 업무를 시작한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킹 특사는 곧이어 추수감사절이 끝난 30일 곧바로 국무부에서 첫 근무를 시작하게 됩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로버트 킹 미국 대북인권특사 후보자에 대한 인준이 20일 미국 상원 본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인준된 가운데, 24일 취임선서식이 있을 것이라고 국무부 관리가 2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이는 킹 특사가 미국 연휴인 추수 감사절 휴가를 보낸 직후, 30일 곧바로 업무에 착수하기 위해서라고 이 국무부 관리는 전했습니다.
킹 특사의 업무 착수 과정이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킹 특사는 미국과 북한 간 양자 대화를 포함한 정부 간 대화에서 보즈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성 김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와 긴밀히 협력해 북한 인권문제를 다룰 것으로 알려져, 향후 킹 특사가 대북정책에 얼마나 깊이 관여하게 될 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킹 특사가 전직이었던 제이 레프코위츠 북한인권특사가 임시직이었던 것과는 달리 국무부의 상근직 대사급으로 근무하게 되며, 국무부 내 보즈워스 특별대표, 성 김 특사와 함께 ‘대북정책과’ (North Korea Policy Office) 에서 함께 근무하게 된다고 국무부의 관리가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최근 밝힌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 공화당의 프랭크 울프(Frank R. Wolf) 하원의원은 곧 임명될 미국의 북한인권특사가 북한 주민의 인권 문제뿐만 아니라 미국과 북한 간 정치적, 외교적 협상에도 관여할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힌 바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킹 특사가 정부 간 협상에 참여하는 범위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북핵 협상의 진전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대체로 밝히면서, 이와는 상관없이 킹 특사는 이전보다는 비중있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디펜스 포럼의 수잔 숄티 회장은 최근 보즈워스 특별대표와의 면담 자리에서 현 오바마 행정부 아래 북한인권특사직에 대한 달라진 비중을 느꼈다고 밝혔습니다.
수잔 숄티:이번 북한인권특사가 더욱 비중있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북한 인권 특사를 미북 간 정치적, 외교적 협상에 관여토록 배정하지 않는 것은 인권특사 지명의 본래 의도에 위배되는 것입니다.
미국 사회과학원(SSRC)의 리언 시걸 국장도 오바마 정부가 궁극적으로는 인권 문제를 분명히 짚고 넘어갈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미국 정부가 전략적으로 북핵 협상의 진전에 따라 서서히 킹 특사의 관여도와 6자회담에서의 인권 문제 제기를 해나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시걸: 양자회담을 통해 6자회담을 재개하고, 그리고 회담의 진전에 따라 킹 특사를 참여시킬 겁니다.
한편, 미첼 리스 전 국무부 정책기획실장은 24일 자유아시아방송과 한 회견에서 킹 특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그리 큰 기대를 하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리스: 북핵이 협상을 통해 아주 잘 해결되지 않는 한, 인권 문제가 대두되긴 힘들겁니다. 만약 킹 특사가 임명되자 마자, 인권 문제가 제기된다면 아마 북핵 협상의 성공에 대해 미국 정부가 거의 포기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겁니다.
헤티리티 연구소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도 이와 관련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클링너: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현재 인권 문제를 아시아 순방 등에서 제기하지 않아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킹 특사가 더욱 적극적으로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할 지는 두고 봐야 합니다.
하지만, 앞서 킹 특사는 이달 초 미국 상원 인준청문회에 출석해 자신이 특사에 취임하게 되면 중국 정부에 대해 탈북자 추방과 강제 북송을 하지 말도록 촉구해 나갈 것이라고도 밝혀 북한 인권 문제 해결에 굳은 의지를 보이기도 해, 향후 킹 특사가 대북정책에 관여하게 될 범위를 결정할 미국과 북한 간 북핵 협상의 진전에 더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