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크 의원, 국무부에 이산가족 상봉 서한

0:00 / 0:00

앵커 : 미국 의회에 한인이산가족위원회를 만든 상원의원이 최근 한인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 미국 정부와 적십자사가 적극적인 노력해 줄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북동부 일리노이 주 마크 커크 연방 상원의원이 최근 국무부의 북한 인권특사와 국제적십자사 대표에 미국에 사는 한인들과 북한의 가족 간 상봉을 우선으로 추진해 줄 것을 촉구하는 편지 (원문보기) 를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커크 상원의원의 편지는 남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회담 개최를 합의한 직후인 지난달 23일 발송됐습니다.

커크 의원은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에 보낸 서한에서 9월에 진행될 남북 이산가족 상봉에 한인 이산가족도 포함될 수 있도록 미국 정부가 노력해 주기를 촉구했습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통해 지금까지 1만 8천여 명의 이산가족이 직접 만났고, 추가로 3천700여 명이 영상을 통한 상봉을 해왔지만, 미국에 사는 한인들은 이 같은 기회를 잡지 못했다고 커크 의원은 설명했습니다.

커크 의원은 이산가족 대부분이 고령이어서 북한에 있는 직계가족의 생존 가능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면서 시간을 다투는 문제인 만큼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 내 한인 비영리단체인 ‘재미이산가족상봉추진위원회’의 이차희 사무총장은 연방 상원의원이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한 국무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한 서한으로 이산가족 상봉의 기대감이 커졌다고 1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이차희 사무총장 : 한국의 움직임은 저희에게 무척 고무적입니다. 저희는 미국 정부를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위원회 내에서 이를 위해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최근 다시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이 사무총장은 최근 남북한 간 협력 움직임을 계기로 재차 적극적으로 미주 한인들의 이산가족 상봉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공화당의 커크 의원은 하원 의원 시절인 2007년 미국에 사는 한인 이산가족이 북한의 가족을 다시 만나도록 지원하기 위해 의회에 ‘한인이산가족위원회’를 출범시킨 주역입니다.

커크 상원의원은 2011년 한국 정부에 서한을 보내 남북한 간 이산가족 상봉 때 미국에 사는 한인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당시 한국의 외교통상부와 통일부 장관 앞으로 보낸 서한에서 미국 내 한인들의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미국과 한국 양국 정부 간 협력과 정보 교류를 제안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