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전거리교화소 여성수감시설 확장”

북한인권위원회가 30일 공개한 북한 전거리교화소의 2015년 6월 모습. 빨간 선 부분이 확장된 여성수감 시설.
북한인권위원회가 30일 공개한 북한 전거리교화소의 2015년 6월 모습. 빨간 선 부분이 확장된 여성수감 시설. (사진=올소스어낼리시스 제공)

0:00 / 0:00
2008년 12월 전거리교화소의 모습. 사진=올소스어낼리시스 제공
2008년 12월 전거리교화소의 모습. 사진=올소스어낼리시스 제공

앵커 : 미국의 인권단체가 30일 발표한 북한 전거리교화소의 변화 보고서에서 여성 수감시설의 확장과 지속적인 수감자 노역 착취 등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의 인권단체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30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상업위성사진 분석업체 ‘올소스어낼리시스(All Source Analysis)’와 공동으로 1960년대부터 지난해 5월까지의 다양한 인공위성사진 자료를 분석해 제12호 와 주변의 변모과정을 관찰했다고 밝혔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 이번 위성사진 작업을 통해 내 여성 수감시설이 확장되고 수용소가 과밀 현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주변 구리광산 채굴에 수감자들의 노동력 동원이 계속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 발간은 북한인권위원회와 올소스어낼리시스가 공동으로 정치범수용소와 교화소 등 북한의 수감시설을 위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변모하는 모습을 파악해 나가는 작업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인권위원회는 앞서 북한 정치범수용소에 관한 책 ‘숨겨진 수용소’를 개정판까지 수 차례 발간한 바 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전거리교화소는 1980년부터 1983년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며 2009년 2월과 8월 여성수감자를 위한 시설을 확장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20퍼센트 정도가 여성인데 이들 중 80퍼센트는 중국에서 강제송환됐다고 주장했습니다. 2009년에 여성수감시설이 늘어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2008년 중국의 베이징 올림픽 때문이었을 거라는 설명입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 베이징 올림픽이 열리던 해에 탈북자 강제 북송이 증가했고 올림픽 직후에 북중 국경지역인 회령인근 에 여성 수감시설 확장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늘어나는 강제북송 여성을 수용하기 위해2009년 2월부터 8월 사이에 여성 수감시설 인근에 별도의 건물이 세워진 것을 확인했다는 것입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전거리교화소에 경공업과 탄광까지 설치해 수감자들의 노동력을 착취했다는 탈북자들의 증언을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 말 1천 300명가량이던 전거리교화소의 수감자 수는 최근 5천명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수감자 처우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이라도 준수할 것 등 북한 당국에 대한 몇 가지 권고 사항을 담고 있습니다. 북한인권위원회는 이번 보고서에서 수감자의 영양실조와 구리광산 등 작업장의 열악한 보건환경과 안전문제를 개선할 것을 북한 당국에 권고했습니다. 또한 구리 광산에서 나오는 폐기물 등으로 인근 지역의 환경오염 문제도 지적했습니다. 북한인권위원회는 따라서 북한 당국이 국제적십자사가 전거리교화소와 정치범수용소 등 북한의 수감시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