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라오스 정부가 한국행을 희망하던 탈북 청소년 9명을 중국으로 추방했습니다. 라오스 현지 북한 대사관이 직접 개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들의 북송 가능성이 큰 것으로 우려됩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탈북 청소년 9명이 중국을 거쳐 라오스 국경을 넘다가 현지 경찰에 잡힌 것은 지난 9일입니다. 예전엔 탈북자가 억류될 경우에도 1~2주 안에 한국 측 외교 공관으로 신병 인도가 마무리되곤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엔 달랐습니다. 이들은 지난 16일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에 있는 어느 시설에 억류됐고, 27일 오후 모두 중국으로 추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과정에는 “라오스 현지에 있는 북한 측 외교공관이 개입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현지 사정을 잘 아는 시민단체 관계자는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탈북자 9명이 추방될 때 탑승한 비행기에 “북측 인원 여러명이 함께 탄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들 탈북자는 남자 7명, 여자 2명이며, 나이는 15세에서 22세 사이로, 모두 “고아”라고 이 관계자는 말했습니다.
한국의 외교부는 28일 관련 사실을 확인하지 않으면서 원칙적인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 탈북민 관련 사항은 정부에서 확인해 드리지 않고 있습니다. 이것은 두 가지 때문입니다. 즉, 탈북민 당사자들의 안위와 해당 국가와의 관계를 고려한 결과입니다. 우리 정부는 탈북민이 한국행을 희망할 경우 수용한다는 입장 하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음을 말씀드립니다.
중국 외교부도 라오스로부터 넘겨받은 9명의 탈북 청소년을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에 기존 방침만 재확인했습니다.
훙레이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 정부는 "국내법과 국제법, 인도주의 원칙에 따라 조선(북한)의 불법 입국자 문제를 처리한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9일 탈북자 9명이 억류된 직후 현지에 있는 한국 측 외교공관은 줄곧 라오스 정부에 이들의 신병 인도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한국의 외교부는 이들이 라오스에서 추방된 사실을 파악한 뒤 즉각 윤병세 장관 주재로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관련국들에 탈북자를 북송하지 말 것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