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의 북한인권단체들은 29일 라오스에서 체포된 탈북고아 9명이 강제북송될 경우 심각한 처벌을 받을 것이 우려된다면서 한국 정부가 모든 외교적 노력을 강구해 줄 것을 촉구할 예정입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북한인권시민연합의 김영자 사무국장은 북한측이 라오스 당국으로부터 탈북고아 9명을 인도받아 지난 27일 출국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이들의 구출이 매우 시급하다고28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김 사무국장 : (중국) 공안에 있는 것이 아니고, (9명의 탈북고아들이) 북한 대사관 사람들과 같이 갔습니다. 그들을 구출할 수 있는 시간은 오늘 (28일) 밤 하고 내일(29일)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중국 내 북한 대사관에 있을) 가능성이 크죠. 아니면 제3의 장소에 있다든지. 감시하에…
김 사무국장은 북한인권정보센터, 북한민주화 네트워크 등 10여 개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들이 한국 외교부 청사 앞에서 29일 오후 12시 반 강제북송 위기에 처한 이들 탈북청소년의 안전을 위해 한국 정부가 모든 외교력을 동원해 줄 것으로 요청하는 공동 기자회견을 한다고 밝혔습니다.
탈북청소년들은 중국에서 라오스로 이들의 탈출을 도운 한국 선교사 등과 국경지대 멍싸이에서10일 라오스 당국에 체포돼 16일에는 수도 비엔티안의 이민국으로 보내졌습니다. 김 사무국장은 20일 이민국으로 찾아온 북한대사관 직원을 한국대사관 직원으로 잘못 안 탈북청소년들이 ‘한국행’을 원한다고 밝혔기 때문에 이들이 강제북송될 경우 더욱 심각한 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사무국장 : 오전에 떠나는 비행기를 연발시키고, 그 아이들을 잡아서 (그 비행기에) 실은 다음에 비행기를 떠나 보냈다니, 북한의 외교부가 라오스 정부를 설득해서 데리고 가는 것이잖아요. (라오스 경로) 이것이 막히게 되면 (탈북) 동포들이 정말 갈 데가 없어져요. 모든 외교를 동원해서 그들이 다시 자유를 찾도록 해 주자고 한국 정부에 호소하는 것이죠.
김 사무국장은 최근 라오스 당국은 체포된 탈북자들이 한국행을 원할 경우 한국대사관으로 보내곤 했다며 이번의 이례적인 조치로 라오스를 통한 탈북 경로가 막힐 가능성에 대해 우려했습니다. 북한 당국이 주민의 탈북을 막기 위해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김 사무국장은 덧붙였습니다.
김 사무국장 : 북한 당국이 주민의 탈북을 막기 위해 상당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탈북하는 사람을 한 명 잡으면 당에 입당시켜준다든지, 중국에서는 탈북자를 나오지 못하게 접경지역을 막고 있습니다. 게다가 동남아시아로 가는 경로까지 북한 당국이 손을 뻗쳐서 봉쇄시켜 탈북자들이 한국으로 가지 못하도록 하는 정책을 펴는 것 같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외교부는 라오스 측에 탈북청소년과 안내인 선교사의 인계를 요청했고 라오스 측은 20일 인도할 뜻을 표명했었지만 23일 다시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