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선교사가 탈북고아 인신매매” 궤변

0:00 / 0:00

앵커 : 라오스 외교부가 최근 강제북송한 탈북고아 9명을 안내한 한국인 선교사 부부를 인신매매범으로 매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들의 탈북과정에 깊이 관여한 미국의 인권단체 관계자는 이들의 주장이 터무니 없는 거짓말이라고 일침을 가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라오스 당국이 지난 10일 라오스와 중국 간 국경지역에서 체포해 북한측에 인도한 탈북청소년 9명이 인신매매를 당했다는 주장을 내놓았습니다. 라오스 외교부는 중국을 통해 강제북송된 것으로 알려진 이들 탈북청소년에 관한 설명을 요구한 자유아시아방송에 보낸 전자우편에서 국경지역에서 체포된 11명 중 9명은14세에서 18세의 북한국적자이며, 두 명은 한국 국적자로 인신매매를 자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탈북청소년은 27일 북한 대사관에, 두 명의 한국 국적자는 한국 대사관에 인도했다는 것입니다.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has been identified that nine of them are the citizen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aged between 14 to 18 years who have illegally entered into the Lao PDR, while the other two are the citizens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who have committed human trafficking…

그러나, 한국대사관에 인도된 주 모 선교사 부부와 함께 강제북송된 9명의 탈북청소년을 보호하고 한국에 정착하기 위한 탈출 과정에 깊숙히 개입해 온 미국의 인권단체 디펜스포럼의 수잔 숄티 대표는 너무도 터무니 없는 주장이라고 일축했습니다.

숄티 대표 : 라오스 정부는 비난받아 마땅합니다. 이들이 한국에 가고 싶어했다는 것을 라오스 당국은 분명히 알고 있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들을 전원 한국에 정착시키겠다며 인도를 요청했습니다. 이들이 '인신매매'를 당했다는 것은 정말 터무니없고, 비열한 거짓말입니다. The Laotian government should be condemned. They knew these children wanted to go to South Korea. That's a fact. The SK government had requested and said they would accept all these children for resettlement in SK. For them to claim that this is a human trafficking is an absolute, abject lie.

숄티 대표는 선교사 주 씨 부부는 이 단체가 2011년 한국에 정착시킨 3명과 지난 2월 미국에 정착시킨 3명의 탈북고아들을 포함해 총 15명의 이른바 ‘꽃제비’ 출신 탈북 청소년을 4년 간 돌봐주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보호자가 없이 떠돌다 중국 공안에 매를 맞고 길거리에서 쓰레기통을 뒤져 음식을 찾아 먹던 아이들에게 안정감을 주기 위해 하루 세 끼의 식사를 매일 똑같은 시간에 마련해주고, 건강을 돌보며, 공부도 가르쳐주었다는 것입니다. 선교사 주 씨 부부는 돌보던 탈북청소년의 안전을 위해 자신들도 자유롭게 돌아다니지 못하고 희생했고 중국의 단속이 심해지자 이들을 제3국으로 이동시키려 했다는 설명입니다. 숄티 대표는 15세에서 23세 사이로 알려진 탈북청소년의 나이를 라오스 외교부가 14세에서 18세 사이라고 적은 것은 이들이 한국행을 원한다는 등의 결정을 할 수 없는 미성년자였다고 주장하려는 술책일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 하원외교위원회 전문위원을 지낸 데니스 할핀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국제대학원 객원연구원은 이날 라오스 정부가 오랜 기간 비공식적으로 지켜온 ‘신사협정’을 깨고 탈북자 정책을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 같다며 우려를 나타내는 글(Laos Betrays “Gentlemen's Agreement” on North Korean Refugees)을 발표했습니다.

31일 한국 주재 라오스 대사관 앞에서 이들의 강제북송에 항의하는 시위에 참가한 한국의 인권단체 북한인권시민연합의 요안나 호사냑(Joanna Hosaniak) 부국장은 라오스 정부가 이번 조치로 참혹한 인권유린을 자행하는 북한과 같은 수준으로 자국의 명예를 실추시켰다고 비난했습니다.

이 소식에 정통한 한국의 인권단체 북한정의연대의 정 베드로 대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중국 등에서 제3국행을 희망하는 탈북자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며 탈북자 보호를 위해 한국 정부와 국제사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 베드로 대표 : 우리 탈북동포들이 중국과 제3국에서 굉장히 불안한 가운데 지내고 도피를 하는 분들이 많은 데, 이번일을 계기로 한국 외교부가 다시 한 번 개혁을 하고 또 주변국가나 전 세계 국가에서 탈북 난민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난민의 지위를 인정 받을 수 있도록 중국 정부를 향해서 많은 외교적 노력을 함께 해 주셨으면 합니다. 중국이 정말 관건이죠. 중국이 탈북자를 강제북송하지 않는 그런 때가 왔으면 합니다.

정 대표와 숄티 대표 등은 오는 6월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이 미국을 방문하고,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는 것을 계기로 탈북자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이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