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중 양국의 국경 검열 강화로 최근 도강비가 올라 국경을 넘는 북한 주민들의 시름이 깊어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탈출 경비를 아끼겠다고 중국에서 버스를 타고 이동하던 북한여성 2명이 체포돼 북송 됐다는 안타까운 소식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중국이 북한과 인접한 변방지역에서 탈북자 단속을 강화하면서 탈출 비용이 오르고 있습니다.
중국 길림성 연변지방에서 탈북자 구출활동을 벌이고 있는 양 모 씨는 "버스와 객차 등에서 중국 공안의 단속이 강화되어 연변지방을 빠지기가 곱절 힘들게 되었다"면서 설사 두만강을 넘어 중국에 오더라도 연변지방에서 붙잡히는 탈북자들이 적지 않다고 25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그는 "얼마 전 30대 초반의 북한 여성 두 명이 연길-심양행 열차에 올랐다가 중국 공안에 체포되어 도문 변방구류소로 끌려갔고, 3일 만에 북송된 사건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탈북 여성들은 제3국으로 가기 위해 남방으로 나가던 중 중간 집결지인 심양으로 가다가 봉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의 탈북 중개인들이 연길에서 심양까지 안내하는 데 중국 돈 1만 위안(미화 1천700달러)을 요구하자, 돈이 없는 북한 여성들이 일반 객차에 올랐다가 중국 공안의 불심검문에 단속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의 일반 객차비용은 연길에서 심양까지 갈 경우, 인민폐 100위안 정도 하는데, 탈북 브로커가 1만 위안을 요구하는 것은 그만큼 이 지역 경비가 강화되었음을 보여준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양 씨는 "북한 여성들이 도문변방 구류소로 압송된 지 3일 만에 눈 깜짝할 사이에 북한 온성군으로 넘겨졌다"면서 전광석화처럼 벌어진 탈북자 북송은 중국 당국의 처리가 예전 같지 않음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양 씨는 이 북송사건 외에도 공개되지 않은 탈북자 체포 사건이 많다면서 시진핑 정부가 들어선 다음 국경업무 강화 지침이 하달되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시진핑 정부가 중국 내 부패척결, 국경안정, 빈곤퇴치 등 여러 가지 공약을 내걸고 사회기강 잡기에 돌입하면서 그 불똥이 탈북자들에게도 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중국 내 탈북자 지원활동을 하는 겨레얼 통일연대의 장세율 대표도 국경경비대에 대한 북한 당국의 감시가 다중화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거주지에서 국경군대들이 주민들과 내통하고 깊어지면 밀수라든가 이런 루트가 자꾸 개설되니까, (북한 당국이)혼란을 주고 주민동향을 파악하고, 군인들도 나서지 못하게 이런 차원에서 지금은…"
북한당국은 국경지방에서 마약 단속과 함께 주민 탈출을 막기 위해 국경경비대를 수시로 교방(교체)하는 등 군민관계의 '검은 고리'를 끊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그는 지적했습니다.
때문에 두만강을 건너는 비용을 포함해 연길까지 들어가는 데 미화로 약 5천 달러가 넘는다고 탈북 중개인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