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13일 개막한 제10차 장애인권리협약(CRPD)당사국 회의에 참석차 유엔을 방문중인 북한 리흥식 외무성 인권담당대사가 유엔 대북지원기구 관계자들을 만나 적극적인 지원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뉴욕에서 정보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흥식 인권 대사: 북한은 장애자들의 권리를 보호 증진시키고 개선하는 데서 장애자 권리에 관한 협약 이행과 국제 협력이 중요하다고 간주합니다. 협약 이행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적극 기여할 것입니다.
북한 리흥식 외무성 인권 대사가 13일 유엔총회 제10차 장애인권리협약회 당사국회의에서 북한 대표로 참석해 한 발언입니다.
리 대사의 이번 방문에 대해 유엔은 미국인 오토 웜비어씨의 석방 일정과 같은 날 이뤄진 점에 특별히 주목하고 있습니다.
또 북한이 유엔 정기총회 고위급 토의 기조연설자가 아닌 장애인협약회의와 같은 일반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한 것도 이례적인 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유엔 내부 소식통은 "리 대사의 이번 방문은 단순히 장애인협약회의 참석 때문이 아니다"라며 "리동일 북한 외무성 국제기구 국장이 동행하고 있음에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리동일 국장은 유엔주재 북한 대표부 차석대사로 활동하다 2014년 12월 귀임한 인물로 연설문을 보지 않고 유창한 영어실력으로 발언한 것으로 잘 알려졌으며, 유엔 외교가에서는 "북한 대표부에서 유일하게 대화가 가능한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유엔에서 발이 넓은 것으로 알려진 리 국장이 이번 리흥식 대사의 유엔 방문 일정에 동행한 것이 북한 측의 로비 활동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유엔 소식통에 따르면 리 대사 일행은 이번 방문 일정 기간 평양에 상주하며 대북 지원 사업을 벌이고 있는 유엔 기구 대표와 실무자들을 만나 인도주의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미 유엔아동기금(UNICEF)과 유엔개발계획(UNDP) 관계자들을 만나 더 활발한 대북 지원 활동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대해 유엔아동기금과 유엔개발계획측은 자유아시아방송의 확인 요청에 답을 주지 않은 상태입니다.
북한의 이번 대표단 파견은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들로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국제사회 고립을 타개해보려는 시도로 풀이됩니다.
한편 리 대사 일행이 16일 평양으로 돌아갈 예정인 가운데, 그의 이번 유엔 방문 기간 웜비어씨 석방 이후 남은 미국인들의 석방과 관련 미-북 간 물밑접촉 가능성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뉴욕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정보라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