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처벌 조항 빼면 유엔 보고관 방북 가능”

0:00 / 0:00

앵커: 북한이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 중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을 겨냥한 내용을 삭제해줄 것을 마르주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에게 요청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북한은 특히 다루스만 보고관의 방북을 초청하면서 이 내용의 삭제를 사실상 조건으로 내걸었습니다.

뉴욕에서 정보라 기자입니다.

미국 뉴욕의 주유엔북한대표부가 지난 27일 마르주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과 이례적으로 면담한 주 목적이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의 일부 내용 삭제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8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진행된 유엔총회 제3위원회 회의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다루스만 보고관은 북한이 보고서 내용 중 딱 두 가지를 짚어 삭제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털어놨습니다.

마르주키 다루스만: 하나는 보고서 제7조항인 북한 인권 문제가 최고지도자의 정책에 따라 이행되고 있다는 내용이고, 다른 하나는 제8조항의 북한 인권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한다는 내용으로 북측은 이 둘을 삭제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즉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이유로 김정은 제1위원장을 처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이를 막기위해 이례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겁니다.

마르주끼 다루스만: 보고서를 공동 발제한 회원국들에게 이같은 요청 사항을 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특히 북한 유엔대표부 관계자들이 자신의 방북을 요청하면서 그 전제 조건으로 이 두 조항의 삭제를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마루주키 다루스만: 그들은 자신들이 저의 방북을 초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두 조항이 반드시 삭제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다루스만 보고관은 "북한이 방북을 요청한 것이 지난 10년 이래 처음 있는 일로 반가운 소식이지만 단순한 방문을 위한 방문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책임을 추궁하고(pursue accountability) 인권 침해에 관여한 개인에 대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take action against individuals visibly involved)"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다루스만 보고관에 따르면 27일 이뤄진 북한대표부 관리와의 만남은 자신의 연례적인 면담 요청에 북한이 이례적으로 응한 형태로 이뤄졌습니다.

보고관은 매년 스위스 제네바의 북한대표부를 통해 면담 요청을 해 왔으나 번번이 거절당해 오다 올해 처음으로 북측이 면담에 응했으며, 이날 총 4명의 관리들과 한 시간 가량 대화를 나누었다고 말했습니다.

4명의 북한대표부 관리 중 이름을 알려준2명은 뉴욕 주유엔북한대표부의 김성 참사관과 리동일 차석대사이며, 나머지 2명은 이름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유엔소식통에 따르면 이들은 스위스 제네바 북한대표부에서 유엔총회 참석 차 뉴욕을 방문 중인 김영호 참사와 최명남 외무성 부국장인 것으로 추측됩니다.

뉴욕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정보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