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3년 연속 북한 인권 유린 성토

사진은 안보리 회의 모습.
사진은 안보리 회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공)

0:00 / 0:00

앵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9일 북한의 인권 상황을 정식 안건으로 올려 논의했습니다. 북한의 인권 상황이 안보리 정식 안건으로 채택된 것은 2014년 이후 3년 연속입니다.

뉴욕에서 정보라 기자의 보도입니다.

안보리는 9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미국과 프랑스, 영국 등 9개 이사국의 요청에 따라 북한 인권 상황을 논의하는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안보리는 중국이 개별 국가의 인권 상황을 안보리가 다루는 것이 부적합하다며 반대하자, 정식 안건 채택 여부를 묻는 절차투표를 실시하고 찬성 9표, 반대 5표, 기권 1표로 가결했습니다.

절차투표에서 찬성한 이사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스페인, 즉 에스빠냐, 우크라이나, 우루과이였고, 반대국은 중국, 러시아, 베네수엘라, 이집트, 앙골라였습니다. 세네갈은 기권했습니다.

투표가 끝나자마자 바로 이어진 회의에서 이사국들은 개별 발언 시간에 북한 인권 상황을 비난하고 개선을 촉구했습니다.

프랑수와 들라트르 유엔주재 프랑스 대사는 "북한의 인권 상황이 지구상에서 가장 열악하다"며 "북한 정권의 조직적인 반인도적 범죄 행위를 말할 것 같으면 그 심각성과 정도, 성격이 세상에 둘도 없을 정도"라고 말했습니다.

매튜 라이크로프트 유엔주재 영국 대사의 발언입니다.

라이크로프트 영국 대사: 일부 국가들은 북한의 인권상황이 안보리의 논의 주제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저는 여기에 반대합니다. 북한 정권이 민생 안정이 아닌 무모한 핵개발을 선택한 것이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북한은 이웃나라의 국민을 납치함으로써 지역 안보도 위협합니다.

한편 이날 안보리 논의 직후 유엔본부 회의장 1호실에서는 미국과 한국, 일본, 영국 유엔대표부가 공동 주관한 북한 인권 유린으로 인한 이산가족 문제를 다루는 회의가 열렸습니다.

또 유엔 총회는 이달 중 북한 인권 유린에 책임이 있는 관계자들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하도록 권고하는 내용의 북한인권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입니다.

유엔은 지난 11년 연속 북한인권 결의안을 채택해 왔습니다.

뉴욕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정보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