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상원의 해외예산안에 북한에 친지를 둔 미국 내 한인들의 가족 상봉을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마크 커크 미국 연방 상원의원은 '국무 및 해외 활동 지출 법안(State and Foreign Operations Appropriations bill, S3117)'에 이산가족상봉을 촉구하는 내용을 포함했다고 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커크 의원실 관계자는 지난달 30일 열린 상원 세출위원회 회의에서 미국에 사는 한인 이산가족을 위한 정부의 노력을 촉구하는 해외예산안 수정안을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제이슨 개스키 보좌관: 국무부가 이산가족 문제를 놓고 북한과 직접 대화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습니다.
커크 의원이 지난 3월 9일 민주당의 마크 워너 상원의원과 '북한에 친지를 둔 한국계 미국인 이산가족의 상봉을 위해 협의를 촉구하는 법안(S.2657)'을 수정해서 예산안에 포함했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커크 의원의 법안에는 국무부가 한인 이산가족 대표들을 일년에 최소한 두 차례 이상 만나서 현안과 관련한 건의를 취합한 뒤 이를 바탕으로 북한과 대화를 추진하는 권고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지원 계획을 담은 보고서 제출을 요구했습니다.
또한 국무장관이 이산가족 상봉 기회를 한국 정부당국과 논의하고, 국무부의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재미 이산가족들과 적어도 6개월에 한 번씩 협의하라고 권고했습니다.
커크 의원은 지난해 6월에도 국무장관이 한국계 미국인들의 이산가족 상봉 문제에 더 우선적으로 관심을 기울일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의한 바 있습니다.
한편 상원의 '국무 및 해외 활동 지출 법안'은 북한을 미국 정부의 직접 지원을 허용하지 않는 국가로 재지정했습니다.
이와 함께 상원의 해외활동예산안에는 대북 국제방송 운영과 관련 예산과 탈북자 지원 예산 그리고 북한 정치범 수용소의 정보를 확보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예산도 포함됐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