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체인’, 백악관 사이트로 김정은 ICC 제소 캠페인

0:00 / 0:00

앵커: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인권탄압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기 위해 미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달라는 청원 운동이 미국 백악관 인터넷 청원 사이트에서 시작됐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주민에 대한 무자비한 인권 탄압의 책임을 물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하자는 인터넷 청원 운동이 시작됐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비정부 단체인 '노 체인'은 미국 대통령 집무기관인 백악관의 웹사이트를 통한 청원 운동을 전개해 북한 인권탄압의 최고 책임자인 김 위원장의 법적 책임을 묻기로 했다고 2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이 단체의 헨리 송 미주 지부 사무총장은 북한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습니다.

헨리 송: 지난 21일부터 백악관의 인터넷 청원공간('We The People')에서 김 위원장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해야 한다는 서명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10만 명이 서명에 참여하면 미국 정부의 공식 답변을 듣게 됩니다.

송 사무총장은 2014년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가 작성한 보고서를 보면 북한에서 자행되는 인권 유린의 심각성과 규모, 본질은 문명 사회에서는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정도라고 결론 내렸다면서 북한의 인권탄압은 국제 기준에서 명확한 범죄행위라고 비난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는 북한의 인권 유린이 국가 정책에 근거를 둔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되며, 그 책임이 북한 정부의 여러 기구와 최고 지도자인 김정은 위원장에게까지 이른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노 체인'은 세계인들이 북한의 인권유린을 범죄로 간주하고 있으며 김 위원장이 이에 대한 책임으로 처벌 받는 것을 지지한다는 움직임을 북한에도 직접 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헨리 송: 서명 참여자가 10만 명이 되어서 미국 정부가 김정은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하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할지와 관련한 답변을 받는 것이 최선이지만, 서명자가 10만 명이 안되서 정부의 답을 듣지 못해도 이러한 전세계인의 뜻을 북한 주민에 전달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노 체인'은 이를 USB와 같은 컴퓨터 저장장치에 담아 북한 내부로 보내는 방법과 인쇄물을 제작해 대형풍선으로 보내거나 대북 라디오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김 위원장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해서 인권탄압의 책임을 묻기 위해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촉구하는 인터넷 청원 운동의 시한은 앞으로 30일 간이며 이 기간 동안 10만 명이 찬성하는 서명을 하면 이 사안에 대한 미국 대통령 집무실과 행정부 해당 부처의 공식 답변을 듣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