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일본 정부가 다음 주께 북한에 파견할 납치 조사 점검단에 유골 문제를 담당하는 후생노동성 관리를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방북에서 납치 문제에서 뚜렷한 진전을 이루기 어렵다는 판단 아래 상대적으로 쉬운 유골 반환 문제를 통해 북한과 논의를 이어가기 위한 고육책이라는 지적입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일본 정부가 곧 평양에 파견할 납치 조사 점검단이 일본인 유골 반환 문제를 이번 방북에서 다룰 주요 의제 중 하나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1일 일본의 한 외교 소식통은 일본 정부가 납치 문제와 관련한 당국자 방북 때 납북자 문제와 함께 유골 문제도 논의키로하고 내부 논의를 진행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소식통은 이를 위해 납치 문제를 담당하는 외무성과 경시청뿐 아니라 유골문제를 담당하는 후생노동성 관리도 방북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생존 납북자 귀국 등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춰 북한과 논의를 진행해왔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비협조로 조사단이 이번 방북 때 납치 문제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유골 문제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납치자 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북한과 합의가 쉬운 유골 문제를 먼저 논의함으로써 납치문제 해결을 위한 동력을 잃지 않기 위한 고육책이라는 겁니다.
실제 일본 정부는 납치피해자 가족회 등이 방북에 반대하고 있지만 북한이 약속한 납북자 조사를 중단할 가능성이 있다며 점검단을 파견키로 한 상태입니다.
여기다 일본 정부가 국내 여론을 달래기 위해서 이번 방북에서 뭔가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야 한다는 점도 유골문제 논의 가능성에 힘이 실리는 배경입니다.
마키노 요시히로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원은 일본 정부가 유골 반환 문제를 논의키로 결정한다면 앞으로 협상에서 북한의 입김이 더 세질 걸로 예상했습니다.
마키노 연구원: 북한도 일본 정부 파견단이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 어떤 목적으로 오는지 살펴보고 있을 겁니다. 일본 정부가 북한의 요구에 점점 더 양보하고 있다고 북한이 판단하게 되고,….
북한 문제 전문가인 마키노 연구원은 앞으로 북한이 납치문제 해결을 위한 북일 간 협상에서 점차 주도권을 행사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일본 정부 추산에 따르면 태평양전쟁 당시 북한 지역에서 일본 군인과 민간인 약 3만4천 명이 숨졌습니다.
이 가운데 1만 3천 구의 유골은 전쟁이 끝난 뒤 일본으로 보내졌지만 여전히 2만1천 구가 북한에 남아있는 걸로 추정됩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