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자유주간 닷새째인 27일, 미국 워싱턴에서 세계탈북자 총회가 개최돼 탈북자들이 김정은 정권의 붕괴와 한반도의 평화 통일을 위한 '워싱턴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날 세계탈북자총회(World Congress of North Korean Defectors)를 주최하고 기조연설에 나선 한국 외교부의 이정훈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는 "첫 총회가 25일 벨기에, 즉 벨지끄의 수도인 브뤼셀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유럽 뿐만 아니라 오늘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것은 탈북자들이 겪었던 개개인의 인권 문제를 전세계에 함께 한 목소리로 내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정훈: 시간이 없습니다. 김정은 정권이 자국민의 인권을 개선시키기를 무작정 바라고 기다릴 수 없습니다. 72년 동안 북한 정권은 인권을 유린해 왔습니다. 또한 북한이 자발적으로 자국민의 인권을 향상시키지 않을 것을 확신합니다.
이 대사는 김정은 정권이 체제 유지를 위해 핵무기를 외부적으로 이용하는 것 같이 자국민을 마치 내부적인 도구로 여기고 있기 때문에 인권 유린 행위가 끝나질 않을 것이라는 이유를 들었습니다.
또한 그는 "북한의 강제 유산, 공개 처형 등 인권 유린 행위를 막기 위해서 탈북자들의 증언과 국제적인 관심이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대사의 기조연설 후에는 한국의 북한인민해방전선의 최정훈 대표, 북한민주화운동본부 박상학 대표 등이 나와 북한 인권 유린 실태를 설명하고 해결책을 모색했습니다.
최정훈 대표는 "대북 정보 유입으로 북한 주민들의 인식을 변화시켜 김정은 정권을 붕괴시켜야 된다"며 "대북방송을 통해 북한 내부에서 정권을 반대하는 주민들의 힘을 하나로 모아야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탈북자 출신 박상학 대표는 "한국 내 북한 인권 단체들이 인권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한국 정부의 지원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그래서 대부분의 단체들이 미국 국무부의 보조금(grant)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박상학: 한국 정부가 2천만 북한 동포들에 대한 애정이 있느냐? 통일의 의지가 있느냐? 의심이 듭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과 미국 정부가 '말'보다는 '행동'으로 북한 인권문제에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날 총회 마지막에 참석자들은 '김정은 정권의 붕괴와 한반도의 평화 통일을 위한 워싱턴 선언서'를 채택했습니다.

‘워싱턴 선언’에서 탈북자들은 우선, “김정은 정권이 북한 주민들을 외면한채 정권유지를 위한 핵·미사일 도발을 당장 중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강제북송 탈북자들에 대한 처형과 탄압, 정치범 수용소 운영, 해외노동자들에 대한 근로착취도 당장 중단 돼야 된다"고 요구했습니다.
또 이들은 "국제사회가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고 김정은을 인권침해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 에 제소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아울러 "국제사회가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대북정보 유입 등 실질적 변화를 적극 지지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김정은 정권이 북한 주민들에게 언론, 출판, 집회결사의 자유를 비롯한 기본적 자유를 향유할 수 있도록 주체사상을 비롯한 독재자의 모든 사상을 당장 폐지해야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날 총회가 끝난 후 탈북자들은 중국 관영언론인 CCTV 미국 사무소 앞에서 중국 정부의 탈북자 강제 북송 정책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