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북한인권법 제정 10주년을 맞아 미국에 정착한 탈북자들의 한 단체는 10년 전 북한인권법 제정에 나섰던 미국 정치권에 사의를 표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한국을 거치지 않고 미국에 직접 정착한 탈북자들의 단체 '미주자유북한인연합회'의 박철 대표는 17일 성명을 통해 10년 전 북한인권법을 제정한 미국 정치권에 사의를 표했습니다.
2004년 미국의 북한인권법이 제정된 후 난민지위를 받고 미국에 입국한 탈북자 171명을 대표하는 이 단체의 박철 대표는 한국 정부도 북한인권법을 제정해 북한 주민들의 인권을 보장하는데 앞장서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박 대표는 이어 국제사회 일각에서 호기심으로 북한 관광에 나서고 있다면서 하지만 북한은 정치적 목적으로 미국인 3명을 억류하고 있는 곳이라는 점을 상기시켰습니다.
또 북한 지도부를 반인도 인권범죄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하는 데 미국 등 국제사회가 적극 나서줄 것도 촉구했습니다.
박 대표는 북한의 붕괴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북한 내부로 라디오와 스마트폰, 즉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전화를 공급하고 북한 전역에서 와이파이(Wi-Fi) 즉,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북한 당국은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대북인권 상황 비판에 대해 최근 적극적인 방어에 나서고 있습니다.
북한 인권문제 연구기관인 조선인권연구협회는 17일 북한이 최근 유엔에 배포한 자체 인권보고서가 지지를 받고 있다면서 인권을 빌미로 한 적대세력의 내정간섭에 강력 대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지난 15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자국의 인권 옹호 상황을 설명한 자체 인권결의안 초안을 작성하고 유엔 회원국 대표들을 상대로 설명회를 열었고 또 지난 7일에는 유엔에서 각국 외교관과 기자들을 초청해 북한 인권 관련 설명회를 열기도 했습니다.
당시 북한의 최명남 외무성 부국장은 북한 내 '정치범수용소'의 존재는 부인하면서 북한은 단지 '노동교화소'를 운영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명남 부국장: 북한에는 잘못을 뉘우치고 정신을 개량하는 '노동교화소'만 있을 뿐입니다.
이에 대해 국제앰네스티 등 인권 단체와 전문가들은 북한이 스스로 존재를 인정한 '노동교화소'부터 인권단체 등 외부에 공개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미국의 로베르타 코헨 북한인권위원회(HRNK) 공동의장도 북한 전문사이트 '38노스'에 지난 16일 기고한 글에서 북한 당국이 노동교화소의 존재를 인정한 만큼 그에 대한 현장 실사가 뒤따라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북한과의 인권대화는 필요하지만 실질적인 북한 인권문제 진전이 중요하다면서 노동교화소 현장 실사 후에는 약 12만 명이 비참하게 수용된 정치범수용소에 대한 논의도 이어져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