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는 14일 유엔 인권이사회는 북한 정부가 주민의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고, 임의적으로 감시하며 소통의 자유를 박탈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국제앰네스티는 스위스 제네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이날 열린 마르주키 다루스만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의 상호대화를 통해 북한에 3백만 명 이상의 손 전화 가입자가 있지만 외국으로 국제전화를 걸지 못하는 등 북한 주민들은 소통과 표현의 자유를 박탈 당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반 북한 주민들은 계속해서 외국으로 전화를 걸거나 DVD알판 등을 이용해 외부세계의 정보에 접근하려 하면 임의적인 감시와 체포, 구금 등에 직면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앰네스티를 비롯해 휴먼라이츠워치 등 이날 상호대화에 참석한 국제인권단체들은 북한의 인권유린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습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특히 2014년 발간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는 현대사회에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는 북 한의 인권 유린을 분명히 밝혔다고 지적했습니다. 잔혹한 강제수용소, 고문, 공개처형, 대량아사 등 북한 주민들은 몇 세대에 걸쳐 김씨 일가와 엘리트 계층에 의해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따라서 인권이사회가 북한의 반 인도적 범죄에 대한 책임자 처벌이라는 역사적 책무를 담당하고 이를 위해 전문가단을 구성하라는 다루스만 보고관의 권고를 수용할 것을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