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폴란드 즉 뽈스까는 지난해 북한 노동자 364명에게 노동허가증을 발급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폴란드 외무부는 지난해 초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북한 정권의 외화벌이 창구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북한 노동자에 대한 비자 즉 입국사증 발급을 중단했지만, 폴란드 지방 정부는 지난해에도 여전히 북한 노동자들에게 364건의 노동허가증을 발급했습니다.
자유아시아방송이 입수한 폴란드 가족·노동·사회정책부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폴란드 지방정부는 360여 건의 노동허가증을 발급했고 그 중 55건은 여성입니다. 또한 3건은 기존 노동허가증에 대한 기간 연장입니다.
폴란드 가족·노동·사회정책부 대변인은 10일 관련 통계에 관한 자유아시아방송의 구체적인 질문에 답을 피했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통계를 보면 노동허가증이 취소된 경우도 148건에 달했습니다.
외국 기업에 고용되어 6개월 중 3개월 이상을 폴란드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노동자에 해당하는 E-타입 노동허가증 소유자가 가장 많은 84건, 이어 폴란드 현지에 법인이나 지사가 설립되어 있지 않은 외국 회사의 직원이 폴란드 내에서 한시적으로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execution of a service of temporary and casual nature)에 발급되는 D-타입이60건, 나머지 4건은 폴란드 현지법인이나 지점에서 채용된 노동자에게 발급된 경우입니다.
폴란드 국가노동감독원(National Labour Inspectorate)의 야로스와프 레쉬니에프스키(Jaroslaw Lesniewski)국장은 앞서 자유아시아방송에 지난해 15곳에서 400여 명의 북한 노동자에 대한 감찰을 시행했다고 밝혔습니다.
2015년에는 북한 노동자 482명, 2014년에는 253명 등으로 폴란드는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약 2천 800(2,783)명에 달하는 북한 노동자들에게 노동허가증이 발급됐다고 자체 연구 보고서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