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서 탈북자 6명 체포

0:00 / 0:00

앵커: 중국과 접한 라오스 북방지역에서 탈북자 6명이 16일 오후 라오스 당국에 체포돼 북송 위험에 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라오스 내 탈북자 구출 사업에 정통한 소식통은 16일 자유아시아방송에 현지 시간 이날 오후 30대 3명을 포함한 여성 5명과 남성 1명 등 모두 6명이 라오스 경찰에 체포돼 수감됐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 20대 여성 한 명, 30대 세 명, 40대 여성 한 명, 40대 남성 한 명이 오늘(16일) 오후에 잡혔어요.

이 소식통은 지난해 5월 관계자들의 안이한 대응으로 라오스에서 체포돼 강제북송된 탈북고아 9명과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며 국제사회의 관심을 호소했습니다. 북한이 조직적으로 개입하면서 라오스 당국이 탈북자 조사 후 한국 측에 인계하는 전례를 깨고, 이들을 중국을 거쳐 북한으로 강제 송환했던 불행한 사건을 지적한 것입니다.

특히 이 북송 작전에는 주민 단속을 위해 탈북자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는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지시로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에서 활동하는 이른바 '탈북자 체포조'가 직접 개입했다는 관측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따라서 16일 체포된 6명의 탈북자의 북송을 막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는 것입니다.

소식통: 정부나 개인이 관심을 많이 가져주면 함부로 (중국을 통해 강제북송) 시키지 않고, 아무도 모르고 누가 금전적인 혜택을 주지 않으면 (북한으로) 넘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라오스 외교부는 지난해 탈북 고아 북송과 관련한 자유아시아방송의 질문에 국경지역에서 체포된14세에서 18세의 북한 국적 청소년 9명은 같이 체포된 한국 국적 선교사 2명에 의해 인신매매 피해를 당했기 때문에 북한으로 보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체포된 탈북자들은 모두 20대 이상 성인으로 라오스 당국이 '인신매매'와 같은 변명을 내놓을 여지가 전혀 없다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

한편, 라오스 당국은 탈북자들에게 밀입국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부과하는 150달러 정도보다 훨씬 많은 500달러의 벌금을 부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라오스의 소식통은 한국 정부가 한국 대사관 영내에 진입하지 못하고 체포된 탈북자 문제에도 적극 개입해 주길 희망했습니다. 탈북자들이 강제북송되지 않도록 한국 정부와 외교공관이 유연성 있게 대처하길 기대한다는 설명입니다.

라오스 주재 한국대사관 측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탈북자의 안전을 위해 이 문제와 관련된 사항을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