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 단체, 북 인권 ICC회부 촉구

0:00 / 0:00

앵커: 영국과 일본의 인권단체들이 북한 인권유린 책임자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를 촉구하는 시위와 서한 보내기 운동 등을 펼치고 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일본의 인권단체 아시아인권의 가토 켄 대표는 8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지난달 유엔총회 제3위원회의 유엔 북한인권 결의안 표결에서 반대표를 던진 국가들이 이달 중순 본회의에서는 반대하지 말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가토 대표: 본회의 북한인권 결의안 표결에서 어느 국가가 반대를 하는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북한을 지지한다면 반 인도적 범죄를 자행하는 북한 당국에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하고 더 많은 인권유린 피해자가 발생하도록 방조하는 것입니다.

북한의 인권유린 책임자 처벌 조항 등을 담은 유엔 북한인권 결의안은 지난달 제3위원회에서 111개 회원국의 압도적인 지지로 통과해 이달 중순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표결에 부쳐질 예정입니다. 가토 대표는 이날 반대표를 던진 19개 유엔 회원국 중 북한을 제외한 18개국의 일본주재 공관에 표결에 찬성 아니면 기권이라도 해 줄 것을 당부하는 편지를 보냈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대표를 던진 국가는 중국, 러시아를 비롯해 벨라루스, 볼리비아, 에쿠아도르, 이집트, 라오스, 미얀마 등입니다. 이 편지는 아시아인권 등 15개 단체와 '납치피해자 가족회'의 이즈카 시게오 대표 등 10명의 납북자 가족이 공동으로 보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한편, 영국 북한대사관 앞에서는 8일 북한의 인권유린 책임자를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할 것을 촉구하는 시위가 열렸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 영국 거주 탈북자와 영화 '48미터'를 제작한 한국의 민백두 감독 등 25명 가량이 참석했다고 재영조선인협회 최중화 회장이 밝혔습니다.

최 회장: 한국에서 온 이민복 대북풍선단장, 북한관련 영화인 '48미터'의 민백두 감독, (나우의) 지성호 대표 등 거의 25~26명 가량이 참가했고요, (행사의) 최종적인 목적은 국제사회 흐름에 맞춰 (북한의 인권유린)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시위는 영국에 본부를 둔 '국제탈북민연대' 주도로 8일부터 14일까지 열리는 유럽북한인권주간의 개막 행사입니다. 최 회장은 북한의 인권개선에 탈북자 스스로가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시위에서는 또 북한의 정치범수용소 해체와 강제 북송된 탈북자들의 생존권 보장 등을 촉구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한편,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는 지난 주 미국, 한국, 호주, 프랑스, 영국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10개 이사국이 안보리 의장 앞으로 북한인권 문제를 의제로 채택할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달 유엔총회 제3위원회를 통과한 북한인권 결의안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 인권유린 책임자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 등을 논의할 것을 권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