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캐나다 정부는 북한 최고재판소가 16일 올해 초부터 북한에 억류 중이던 한국계 캐나다인 임현수 목사에게 종신 노역형을 선고한 데 대해 캐나다 정부는 당혹감을 금하지 못한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의 프랑소와 라잘 대변인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캐나다 정부는 60대인 임 목사의 나이와 건강 상태를 고려할 때 북한의 선고는 너무 가혹한 처벌이라고 지적했습니다. Canada is dismayed at the unduly harsh sentence given to Mr. Lim by a North Korean court, particularly given his age and fragile health. 북한의 '조선중앙통신' 등은 이날 '특대형 국가전복 음모 행위를 감행'한 임 목사에 대한 재판이 진행돼 무기 노동교화형이 언도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캐나다 정부는 임 목사가 억류된 뒤 수 차례 면담을 요청했지만 캐나다 관리가 직접 임 목사를 만나 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재판에서야 비로소 억류 이후 처음으로 임 목사를 만날 수 있었다는 설명입니다.
캐나다 정부 대변인은 이것은 자국민에 대한 국가의 영사접근권을 부인하는 것으로 영사관계에 관한 빈 협약(Vienna Convention on Consular Relations)의 심각한 위반이라고 말했습니다.
캐나다 정부는 임 목사의 가족과 친구들과 마찬가지로 임 목사의 권리와 안녕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그의 조속한 귀환을 바란다고 대변인은 강조했습니다.
임 목사는 캐나다 토론토 지역 큰빛교회 담임목사로 지난 20여 년 간 북한을 100차례 이상 방문하며 대규모 지원활동을 벌여왔습니다. 그는 지난 1월 나선에서 평양으로 갔다 억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임 목사는 지난 7월 말 평양에서 북한 최고 존엄을 모독하고 국가전복 음모 행위를 했다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했지만 그의 지인들은 북한 당국의 강요에 의한 허위 자백이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캐나다 큰빛교회의 리사 박 대변인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보낸 전자우편에서 임 목사 가족과 교회를 대신해 북한 주민에 대한 임 목사의 마음을 북한 당국이 기억해 줄 것을 호소한다고 밝혔습니다.
박 대변인은 북한 당국이 자비와 연민을 보여줄 것을 바란다며 세계 각국에서도 임 목사를 위해 계속해서 기도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The family and the church leadership are aware of the trial and sentence. We entrea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o remember Reverend Lim's heart for the people of the DPRK. The family and the church hope for a demonstration of mercy and compassion. Finally, we ask the global community for your continued support in prayers."
캐나다 정부 “북 임 목사 종신형 선고에 당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