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서울UN인권사무소의 시나 폴슨 소장은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을 위해 북한을 방문하는 것도 고려 중이라고 18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북한의 인권 실태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기록을 위해 지난 6월 설립된 서울 UN인권사무소의 시나 폴슨(Signe Poulsen) 소장은 직접 북한에 들어가지 못한 채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장 큰 애로사항이라며 방북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폴슨 소장: 북한이 아닌 다른 곳에서 북한에서 벌어지는 인권 상황에 대한 최신 정보를 입수하고 확인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과제입니다. 방북도 고려 중입니다.
폴슨 소장은 18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단독 전화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방북을 하게 되면 최우선적으로 어디에 가서 무엇을 하고 싶으냐는 질문에 방북은 아직 고려 단계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서울 UN인권사무소와 북한 당국 간 합의가 필요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폴슨 소장: 관련 당사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북을 위해서는 사전 논의가 필요합니다. 북한 내 주민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는 것이 저희 사무소의 중요한 목표입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북한 당국과의 많은 논의가 필요합니다.
북한 당국은 어떤 분야에서 주민의 인권을 개선할 의사가 있는 지, 이를 위해 어떤 유엔의 지원이 필요한 지 등을 논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폴슨 소장은 그러면서 올해 초 북한의 리수용 외무상이 자이드 라아드 알 후세인 유엔 인권최고대표(Zeid Ra'ad Al Hussein UN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를 만나 방북 초청을 제안한 것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폴슨 소장: 알려진 것처럼 방북 관련 세부 사항을 논의 중입니다. 이처럼 서로 만나 북한의 인권에 관해 대화하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한 걸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폴슨 소장은 북한이 지난해 유엔 인권이사회 보편적 정례검토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과 폭력 퇴치 등 일부 권고를 수용한 것은 긍정적이지만 북한은 여전히 자국민의 시민적, 정치적 권리와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를 보장하려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폴슨 소장: 북한은 이 같은 권리에 대한 국제규약을 지키겠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나 저희 조사에 따르면 북한 주민들은 이 같은 권리를 거의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저희가 우려하고 있는 것입니다.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의 권고에 따라 설립된 서울 UN 인권사무소는 북한의 인권 유린 책임자 처벌 등에 필요한 증거를 수집하는 역할도 담당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