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측이 남측 민간단체의 방북 요청을 거절했는데도 남측 정부는 대북접촉 신청 승인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14일에도 3건을 승인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 정부는 14일 문화재제자리찾기운동 등 3곳의 대북접촉 신청을 승인했습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 문화재제자리찾기운동은 문화재 반환을 협의하고 하나반도의료연합은 장애인 학교 지원에 관해서 협의할 예정입니다. 또한 에이스경함은 북한과의 임농복합사업을 협의할 계획입니다.
지난 5월 9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통일부가 승인한 대북 접촉은 모두 21건에 달합니다. 남측 민간단체의 대북접촉 신청은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전망입니다.
이 대변인은 이날도 “대북제재의 근간을 흐트러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민간단체의 남북교류를 유연하게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남측 정부는 대북접촉 승인 등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나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북측은 선뜻 호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북측은 지난 5일 남측 민간단체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말라리아 방역 사업을 위한 방북을 거부했습니다.
북측은 이어 6·15행사를 개성에서 열자는 남측의 제안에 대해서도 평양을 행사 장소로 고집하며 맞섰습니다. 그러나 남측 정부가 이를 거절하면서 행사 자체가 무산됐습니다.
강영식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총장: 남북 양쪽이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싶어하는 것은 같으나 어느 수준에서 할 것인가를 놓고 의견차가 있는 것 같습니다.
북측은 남측 민간단체의 방북을 거부한 이유로 유엔의 새 대북제재 결의와 이에 동참한 남측 정부의 태도를 문제 삼았습니다.
북측은 또 남측 정부의 이산가족 상봉 행사 추진에 대해서도 지난해 중국에서 남한으로 간 식당 종업원 12명의 송환을 요구하며 맞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