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캐나다 토론토에서 4일부터 6일까지 북한 인권을 토론하는 국제 회의가 열립니다.
캐나다 정치인들과 국제 인권 운동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북한 주민들의 인권 개선을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이수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캐나다 민간단체 ‘북한인권협의회’와 미국의 ‘북한자유연대’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번 북한인권회의의 주제는 북한의 ‘인간 안보(Human Security)’와 ‘민주화 개혁의 기회(Opportunity for its democratic reform)’입니다.
캐나다 북한인권협의회의 이경복 회장은 심각하게 침해당하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인권 상황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인지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이번 회의를 연다고 밝혔습니다.
이경복 : 북한의 급변 사태 이후 북한 주민들의 생명과 안보를 어떻게 지원해야 할지 그 대책에 대해 전문가들이 토론할 예정입니다.
이 회장은 북한의 경우 각 개인의 안보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번 국제회의에서 논의하는 내용을 토대로 캐나다 의회에 북한에 대한 ‘인간안보 결의안’의 상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인간안보 결의안’은 앞서 일부 캐나다 의원들이 의회에 발의안 ‘북한인권 결의안’을 보완해 보다 강력하고 광범위한 차원에서 북한의 인권 문제의 개선을 위한 캐나다 정부의 노력을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이란 설명입니다.
참고로 ‘인간 안보’란 1994년 유엔개발계획의 인간개발 보고서에서 처음 소개된 개념으로, 냉전시대가 끝난 후 전통적인 ‘국가안보’만으로는 개인의 안전과 행복을 보장하기 어려우며 국제사회가 개인의 안보까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개념입니다. 즉 국가의 주권보다는 개인의 주권을 우선시 둬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회장은 북한의 경우 국가가 주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기는커녕 오히려 위협하고 있어 국제사회가 북한의 ‘인간 안보’에 관심을 가져야하고 필요하다면 개입해야할 나라라고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그는 이번 토론회에서 정치인, 전문가, 인권 운동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북한 주민들의 안전과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개입할 수 있는 방법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이번 토론회에는 2004년부터 6년 간의 임기를 마치고 이달 말 물러나는 비팃 문타폰 유엔 북한인권특별 보고관이 참석해 그동안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해 조사해 왔던 정보를 참석자들과 나눌 예정입니다. 그리고 캐나다 의회의 인권 소위원회 의원들과 북한 인권에 관심을 두고 지난해 북한인권결의안을 발의했던 보수당의 배리 데볼린(Barry Devolin)의원과 신민당의 웨인 마스톤(Wayne Marston)의원 그리고 한국 대사관 관리 등 관계자들도 다수 참석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미국의 인권단체인 '북한인권위원회'의 김광진 방문 연구원과 정치범 수용소의 인권 참상을 고발한 책 '감춰진 수용소(Hidden Gulag)'의 저자 데이비드 호크 선임고문도 토론회에 초청돼 북한의 인권 문제와 정치범 수용소를 주제로 발표에 나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