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북 9년 연속 종교탄압국 지정

MC

: 미국 국무부는 26일 ‘2009국제종교자유보고서’에서 북한을 종교의 자유가 없는 '특별우려 대상국 (Countries of Particular Concern)'으로 발표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이날 워싱턴의 국무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북한을 비롯해 중국, 버마, 이란, 수단, 에리트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우즈베키스탄 등 8개국을 종교를 탄압하는‘특별우려 대상국(CPC)’으로 지목한 국무부 연례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북한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출범 후 처음 발표한 종교자유보고서에서 ‘특별우려 대상국’으로 지목되면서 조지 부시 전 행정부의 8년에 이어 9년 연속 미국 국무장관의 종교탄압국 명단에 포함되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연설에서 종교의 자유를 건강한 사회의 주춧돌이라고 표현하면서 국무부가 국제종교자유 보고서를 발표하는 의미를 설명했습니다.

클린턴 “국제종교자유보고서가 개인이 종교적 신념으로 차별을 받지 않도록 전 세계의 종교 자유를 위한 활동을 격려하고, 분쟁 지역의 정부와 지역사회가 종교 단체들을 융합하고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대화에 나서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국무부는 전 세계 198개국의 정부가 자국민의 종교 자유를 허용하는 실태를 조사해 매년 국제종교자유 보고서를 발표합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해 7월1일부터 올해 6월30일까지의 조사를 토대로 작성됐습니다.

국무부의 보고서를 보면 북한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지만 북한 정권이 이 권리를 인정하지 않는다면서 북한을 세계에서 가장 종교 자유가 없는 나라 중 하나로 지목했습니다.

보고서는 북한 외딴 지역의 정치범 수용소에 15만에서 20만 명의 수감자들이 있다고 추정하면서 이들 중 일부는 종교적 신념 때문에 갇혀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함께 보고서는 올해 6월 중국과 가까운 용천시에서 성경책을 배포한 혐의로 붙잡힌 리현옥 씨가 공개 처형됐다는 한국 내 인권단체의 주장과 외국 기독교 단체가 지원한 북한 내 지하교인 9명이 2008년 실종됐으며 2006년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탈북자 송종남 씨가 북한 당국에 붙잡혀 사형을 선고받았다는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국무부의 국제종교자유실의 관리는 자유아시아방송에 이날 발표한 ‘특별우려 대상국(CPC)’의 명단은 국무장관이 미국 정부의 우려를 담은 8개 나라를 지목한 것으로 제재를 가하는 공식 지정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이 관리는 국무부가 매년 ‘특별우려 대상국(CPC)’의 명단을 연례보고서를 통해 발표했지만, 특별우려 대상국을 공식적으로 지정한 것은 1999년, 2001년, 그리고 2009년 세차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을 2001년 종교를 탄압하는 ‘특별우려 대상국(CPC)’명단에 처음으로 공식 지정한 뒤 올해 1월 16일 재지정했습니다.

국무부의 마이클 포스너 부차관은 북한을 비롯한 종교를 탄압하는 ‘특별우려 대상국(CPC)’의 종교 자유를 보장하는 조처를 살펴본 뒤 늦어도 내년 1월 전에 8개 나라를 ‘특별우려 대상국(CPC)’으로 공식 지정할 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