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대북 지원 국제단체에 압박 심해”

0:00 / 0:00

앵커 : 최근 북한 당국이 대북 인도적 지원 단체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익명을 요구한 유럽의 지원단체 관계자는 대북 지원활동을 하는 유럽연합 단체들이 최근 북한 당국으로부터 그 어느 때보다 심하게 정신적으로 시달리고 있다고 24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유럽연합이 유엔에서 북한인권 결의안 상정을 주도한 데 대해 북한이 평양에 상주하는 유럽의 인도적 지원 단체에 활동을 중단하고 북한을 떠날 것을 요구했던 2005년의 긴장 상황 같다는 설명입니다. 그러면서 그는 이 같은 중압감은 북한 외무성 내 유럽의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조선-유럽연합협력조정처(KECCA)’를 통제하는 북한 공안기구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유럽연합이 유엔 인권이사회의 전신인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북한인권 결의안 채택을 주도한 2003년 이후 유엔은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등을 통해 북한의 인권 개선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여왔습니다. 특히 지난해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북한 인권 유린 실태를 상세히 기록한 보고서를 발간한 후 유엔 등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책임자 처벌 논의가 탄력을 받게 되면서 북한은 국제사회의 인권 문제 제기에 이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유럽의 지원단체 관계자는 독일의 민간단체 ‘세계기아원조’ 평양지부장이 지난 2월 말 북한에서 추방된 것도 서방 언론과의 인터뷰 때문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특별히 북한 당국이 예민하게 반응할 내용도 아니었는데 지부장이 추방 당하자 북한에서 오래 활동한 이 단체 다른 직원도 위기 의식을 느껴 다음달 자진 출국했다는 것입니다.

북한은 유럽연합 하에서 활동하는 또 다른 단체에 대해서도 간섭 수위를 높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현지 파트너 즉 협력자와의 접촉이나 사업현장 방문을 금하는 한편, 6개월 마다 갱신하던 이 단체 평양 지부장의 입국사증을 매달 갱신하도록 요구했다는 설명입니다.

북한은 북한에서 지원활동을 하는 캐나다와 미국의 민간단체 관계자들에게도 서방 언론과의 접촉을 금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한 관계자는 자신이 보기에 북한에 중립적인 언론까지 거명하며 인터뷰를 하지 말도록 종용했다고 밝혔습니다.

20여 년 간 100여 차례 북한을 방문하며 대북 인도적 지원을 해 온 한국계 캐나다인 임현수 목사가 지난 2월 말부터 북한에 억류돼 있고, 이달 초순에는 17년 이상 북한에 의료품 등 인도적 지원을 해 온 한국계 미국인 샌드라 서 씨가 ‘모략∙선전’ 혐의를 받고 추방당했습니다.

이처럼 북한 주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식량 안보와 의료 지원 등을 해 온 유럽의 지원단체나 미국과 캐나다의 인도적 지원단체 관계자를 북한이 뚜렷한 이유 없이 억류 혹은 추방하면서 앞으로 대북 지원사업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도 제기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