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의 인권단체 북한인권 정보센터가 지난달 27일부터 1일까지 유럽에서 북한 해외 노동자 강제 노역 실태를 알리는 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1일 영국의 대북인권단체 유럽북한인권협회(EAHRNK)와 공동으로 “노예의 수출: 북한 노동자 착취(Exporting Enslavement: the Exploitation of North Korean Labourers)”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NKDB)의 테오도라 큐브짜노바(Teodor Gyubchanova) 연구원은 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두 단체가 각기 다른 시기에 별도로 조사한 북한 해외 파견 노동자의 인권 착취 실태를 알리는 계기였다고 평가했습니다. 따라서 청중들이 노예와 같은 북한 노동자의 인권 유린의 심각성을 보다 정확하게 들여다 볼 수 있었다는 설명입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가 지난달 15일 발간한 ‘폴란드, 몽골 북한 해외노동자의 삶과 인권실태:북한 밖의 북한’ 발간을 계기로 조사 결과를 유럽 사회에 널리 알리기 위해 지난달 27일부터 시작한 폴란드, 독일, 영국 등 유럽3개국 현지 토론회의 마지막 일정을 마친 것입니다.
이번 유럽 순회 토론회의 성과에 대해 큐브짜노바 연구원은 특히 폴란드 행사에 폴란드 외교부, 국가노동조사원, 국경경비대 등에서 직접 참석해 함께 머리를 맞대고 폴란드 내 북한 해외 파견 노동자의 인권 개선을 위한 방안을 논의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폴란드와 같은 유럽연합 국가에서 자행되고 있는 국제노동법을 위반한 북한 노동자 착취 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폴란드 정부, 민간단체, 연구자와 언론 등의 관심과 행동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폴란드와 몽골 현지 심층 조사를 통해 노동자의 여권을 압수하고 월급의 90퍼센트까지 착취하며 안전기준 미달의 열악한 작업 환경 등 국제노동법을 위반하는 행위가 자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해 냈습니다.
폴란드 현지 조사에 참가한 북한인권정보센터 이승주 연구원은 폴란드가 유럽연합 국가로서 북한 노동자 인권 개선에 협조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폴란드를 최우선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승주 연구원: 오히려 어떻게 보면 문제 제기를 적절하게 하고 또 이것을 폴란드 고용회사나 정부나 관계 기관에 알리면 북한 해외 노동자들의 인권을 개선 시켜 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어서 처음으로 (현지) 조사 대상국으로 선정했습니다.
큐브짜노바 연구원은 폴란드 정부로부터 자국 내 북한 노동자의 인권 착취에 대한 감시를 약속 받은 것은 소득이지만 이 문제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유럽북한인권협회의 마이클 글렌디닝 공동대표는 런던 행사에서 네덜란드의 라이덴대학 라이덴센터와 공동으로 추진한 유럽 내 북한 노동자 강제노역 실태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노예제도, 유럽 내 북한 강제 노역(Slaves to the System: North Korean Forced Labour in the EU)’을 주제로 한 조사결과는 오는 6일 라이덴대학에서 공식 발표될 예정입니다. 글렌디닝 공동대표는 특히 북한 해외 파견 노동자들의 인권 유린에 대한 책임자 처벌 등 정책적 해결 방안을 모색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