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인도주의 위기 감시대상국”

앵커 : 벨기에의 비정부 기구는 북한의 3차 핵실험 후 EU, 즉 유럽연합이 대북 제재를 강화함에 따라 안보 등의 분야에서 북한을 '특별 감시 대상국'으로 분류했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전세계 국가들의 안보, 위기, 그리고 식량난 등을 평가, 감시하는 벨기에 비정부기구 ACAPS(The Assessment Capacities Project)는 북한을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과 관련해 특별 모니터링, 즉 감시가 필요한 국가로 분류했습니다.

ACAPS의 레오니 택스 정보 분석관은 2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지난 6개월간 인도주의적 지원 요청이 들어온 114개국 중 37개국을 ‘특별 감시 대상국’으로 분류했다면서, 북한도 여기에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기구는 “북한이 3차 핵실험을 감행하자EU는 북한에 외부와 거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한하는 제재 조치를 한층 강화했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어 EU의 강화된 제재는 북한정부의 무역 거래 품목에서 금, 다이아몬드 등도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더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도 지난 12월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응해 강력한 결의를 발의한 상태라는 설명입니다.

그러면서, ‘특별감시대상국’은 인도주의적 위기 정도가 높아, 다른 인도주의 지원 요청국들 보다 우선적으로 감시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평가된 나라를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기구는 이어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강화로 인한 고립은 만성적인 식량난을 겪고 있는 북한에 대한 위기감을 더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레오니 대변인은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에 대해 정보가 너무 부족해 세부 분류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레오니 택스 : 북한도 특별 감시 대상국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북한은 위기 상황에 대한 내부 정보가 너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 기구는 북한 주민 약 300만 명이 식량 부족과 영양 결핍 등의 위기에 처해있다고 추정했습니다.

한편 ACAPS는 아프가니스탄, 버키나 파소, 남부 수단 등을 인도주의 상황에 대한 ‘특별 감시 대상국’으로 분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