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논의에 이어 이번엔 유엔 인권이사회가 북한의 인권상황 개선을 위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에 북측 외무상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통일부는 북한이 인권상황의 실질적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문제 논의에 북측이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이에 한국 정부는 인권에 대한 기본 입장을 설명하며 북한 인권상황 개선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통일부는 2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인권 문제는 ‘인류 보편적 가치’라며 유엔 인권이사회의 북한 인권문제 논의에 대한 리수용 북한 외무상의 반발을 일축했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 인권 문제는 인류 보편적 가치입니다. 우리와 유엔을 포함해서 국제사회가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해서 심각하게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북한은 국제사회와 우리와 함께 북한의 열악한 인권상황을 좀 돌아보고 실질적 개선을 위해서 노력을 해야 될 때라고 생각합니다.
리 외무상은 제네바 현지시간으로 1일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연설에서 탈북자들의 북한 인권 관련 진술을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리 외상은 북한에 대한 인권 논의는 “불공정성과 이중 기준의 증거”라며 북한 인권문제를 공격하는 회의에 “더는 참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 외무상이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한 것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제31차 유엔 인권이사회는 제네바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29일 개막했으며 이달 24일까지 진행됩니다.
이 회의에 참석하는 한국의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일 오후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 등에 따른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 이행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북한의 인권문제 개선을 위한 유엔 차원의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4일부터 22일까지 북한, 버마, 팔레스타인, 시리아 등의 인권 문제를 토의할 계획입니다. 특히 14일에는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으로부터 북한 인권 현황에 대한 보고를 들을 예정입니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유엔 인권이사회는 23일과 24일 각국의 인권 상황에 대한 결의안을 채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