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외상,참혹한 북 인권 잘알아”

0:00 / 0:00

앵커 : 한국의 조태열 외교부 2차관은 3일 북한의 참혹한 인권 실상을 부인하려는 리수용 외무상의 발언을 듣고 서글픔을 억누를 수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한국의 조태열 외교부 2차관은 3일 북한 리수용 외무상이 북한 인권과 관련한 진실을 감추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조 차관 : 같은 외교관으로서, 같은 피를 이어 받은 후손으로서, 저는 한 동안 슬픔의 감정이 복 받치는 것을 금할 수 없었습니다. (리수용 북한) 외무상은 북한의 참혹한 인권 상황에 대해, 또 국제사회가 이에 대해 얼마나 우려하고 있는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고 있는 제28차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이틀째인 이날 조 차관은 북한 리 외무상이 탈북자 한 사람이 일부 증언 내용을 바꾼 것을 이용해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듯 진실을 덮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북한의 리 외무상이 기조연설에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발표한 북한의 인권 유린 관련 보고서가 탈북자들의 거짓 증언에 따른 허위 문서라며 무효를 주장한 데 대한 반박입니다.

리 외무상 : 이러한 범죄자 몇 명의 입을 빌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실상에 대한 조사보고서라는 것을 꾸며낸 자체가 문명과 법치를 지향하는 유엔의 리상과는 너무도 상반되는 비행이 아닐 수 없습니다.

북한 외교수장으로서는 처음으로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한 리 외무상은 북한 인권 실상과 관련해 “적대세력이 관심을 가진 것은 오직 죄를 짓고 부모 처자 마저 버리고 도주한 탈북자들이라는 인간쓰레기들 뿐”이라며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의 기초가 됐던 핵심증언이 거짓으로 판명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엔의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와 북한인권 결의 채택, 안보리 북한 인권 논의가 성사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탈북자 신동혁 씨가 최근 자신의 앞선 증언 내용 일부를 번복한 점을 거론한 겁니다.

그러나 한국의 조 차관은 주민의 인권 개선을 위한 당국의 조치를 촉구했습니다. 북한 당국이 지난해 약속한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를 비롯한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하루 속히 행동에 옮겨야 한다는 것입니다.

조 차관: 우리는 북한 주민이 정상적이고 존엄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북한 당국이 더 이상 주민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길 바랍니다. 북한이 구체적이고 진정성 있는 조치를 즉각 취할 것을 촉구합니다.

조 차관은 한국 정부는 인권이사회를 비롯한 유엔 기구와 긴밀히 협력해 북한의 인권 개선을 돕고 특히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 올해 서울에 설치될 유엔 북한인권 사무소의 활동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