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 NGO, ‘북한인권의 날’ 첫 제정

0:00 / 0:00

앵커 : 캐나다 토론토에 기반을 둔 대북 인권단체가 올해부터 9월 28일을 '북한인권의 날'로 제정하고, 이를 기념하는 국제행사를 계획 중입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캐나다 ‘북한인권협의회’는 북한 인권 유린의 참상에 대한 캐나다인의 관심을 고취하기 위해 9월 28일을 ‘북한인권의 날’로 제정하고 27일부터 3일간 이를 기념하는 국제 회의를 개최합니다.

이 단체의 이경복 회장은 ‘빈곤과 공포로부터의 자유를 위하여(Freedom from Want, Freedom from Fear)’라는 주제로 개최될 이 회의에서 제이슨 케니 캐나다 이민장관(Jason Kenney: Minister of Citizenship, Immigration and Multiculturalism)이 기조연설을 하게 된다고 8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이경복 회장 : 9월 28일이 6∙25전쟁 때 (북한으로부터) 서울을 탈환한 날이잖아요. 마침 토요일이고 해서 그 날로 정했어요. (캐나다) 정부가 민간단체가 제정해서 행하는 일을 인정하고, 치하하고, 같이 기념해 주죠. 특히 이민장관이 기조연설을 한다는 그것 하나만으로도 (캐나다) 정부가 그만큼 관심을 갖고 배려해 준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더 각별하고 의미도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캐나다 정부가 올해를 ‘한국의 해’로 정한 바 있어 이를 기념하고 북한 인권 참상을 널리 알려 북한 당국에 의한 인권침해가 속히 종식되도록 압박하기 위한 행사라고 이 회장은 전했습니다.

이 회장은 캐나다 뿐 아니라 한국, 미국, 유럽 등에서 인권유린 희생자, 인권운동가, 학자, 정부관계자 등이 연사로 초빙되는 대규모 회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회장: 특별히 현재 진행 중인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활동을 돕기 위해, 이번 회의에 국제법 법률 전문가를 여러분 모시려고 해요. 그래서 그 분들이 북한에서 자행되는 인권유린의 법적인 측면을 연구 검토해서 유엔 조사위원회 활동에 간접적으로나마 기여하려고 하죠.

이 회장은 북한의 인권문제 중 가장 심각한 것은 자연 재해가 아닌, 국가가 인위적으로 유발하는 굶주림(state-induced starvation)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굶주림 이외에도 북한 당국이 자행하는 공포 정치 특히 정치범 수용소 문제와 난민 문제 등에 관한 연구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이 회장은 덧붙였습니다.

캐나다 정부는 적법한 탈북 난민을 수용하는 데 있어 매우 적극적이며, 지난해 말 난민 심사 기간을 단축하는 조항을 포함한 개정 난민법을 통과시켰습니다. 캐나다 정부는 2007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총 462명의 탈북 난민을 받아들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