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가 북한 인권 증진 전략보고서를 미국 의회에 제출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의 카티나 애덤스 동아시아태평양담당 대변인은 29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국무부가 지난주 의회에 북한 내 인권증진 전략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애덤스 대변인은 이 보고서가 북한 내 인권 증진을 위한 세 가지 전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첫째, 북한 내 인권유린 실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각심을 높이고 둘째는 북한 내로 정보 유입을 확장하고, 마지막으로 북한 내 인권 유린 가해자에 대한 책임 추궁을 적극 추구한다는 것입니다.
(The report details the three primary objectives of our strategy, including increasing international awareness, expanding access to information, and promoting accountability for those responsible for human rights violations in North Korea.)
애덤스 대변인은 북한의 인권 유린은 세계 최악이라고 지적하면서 미국은 북한 당국에 의해 자행되는 체계적이고 만연한 인권 유린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애덤스 대변인은 이어 북한 당국이 정당한 법적 절차 없이 살인을 저지르고 강제 납치, 자의적 체포와 구금, 강제 노동, 고문을 계속 자행하고 있다고 구체적으로 지적했습니다.
(The government continues to commit extrajudicial killings, enforced disappearances, arbitrary arrest and detention, forced labor, and torture.)
또 이러한 인권 유린 대부분은 8만에서 12만 명의 수감자와 그 자녀 등 가족이 수용된 정치범수용소에서 자행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2월 제정된 대북제재강화법(H.R.757)에 따라 제출된 것입니다.
당시 대북제재강화법 제302조는 법 발효 후 180일 이내에 국무장관이 북한 해외 노동자 인권 유린 실태와 탈북자 강제 송환 문제 등을 다룬 북한 인권증진 전략 보고서를 상, 하원 외교위원회에 제출하도록 규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