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주민들은 북한의 인권을 개선하려면 비인간적인 '연좌죄(연좌제)' 제도부터 끝장내야 할 것이라고 한 목소리로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의 정치범수용소에 수용된 죄수 대부분은 아무런 죄도 없이 '연좌죄'에 걸려 갇혀있는 사람들이라는 주장이 북한주민들에 의해 제기되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북한 인권조사위원회는 올해 2월 첫 공식보고서를 통해 과거 김정일 정권과 지금의 김정은 정권에서 자행된 반인륜적 행위들을 낱낱이 폭로했습니다. 당시 마이클 커비 유엔 북한 인권조사위원회 위원장은 보고서를 통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마이클 커비 : "북한은 수령이 모든 걸 결정하는 사회입니다. 김정은에게 반인도 범죄에 대한 책임을 지라고 편지를 보냈습니다"
그러나 10월 20일 미국외교협회(CFR) 주최 토론회에 참석한 장일훈 유엔주재 북한대표부 차석대사 이를 강력히 부인했습니다.
지어 장일훈 대사는 북한에 정치범수용소라는 건 있을 필요도 없고, 정치범 자체라는 말도 모른다며 북한 정치범수용소는 탈북자들이 꾸며낸 조작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또 국제사회가 긍정적으로 나오면 정치범수용소에 대한 유엔 등의 현장실사와 자료도 제공도 할 수 있다는 취지로 이야기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북한 현지 소식통들은 매우 격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23일 북한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정치범수용소보다 더 무서운 건 우리나라(북한)의 ‘연좌죄’ 제도”라며 “지금까지 아무런 죄도 없이 ‘연좌죄’가 적용돼 목숨을 잃은 사람들을 꼽으라면 이루 헤아리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정치범수용소엔 대부분 종교 활동에 연루됐거나 정치제도를 반대한 사람들, 그리고 숙청된 간부의 가족과 친척들이 갇혀 있다며 그들은 모두 본인에게 아무런 죄가 없으나 ‘연좌죄’가 적용돼 정치범수용소에 수감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같은 날 양강도의 한 소식통도 “우리나라에 정말 정치범수용소가 있는지 없는지는 지난해 처형된 장성택의 가족 친척들, 그리고 과거 숙청된 간부들의 가족 친척들이 어디에 수용되어 있는지를 밝히면 답이 나올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유엔과 국제사회가 정말로 우리 인민들의 인권에 관심이 있고, 우리 인민들의 인권상황을 개선하려 한다면 김정은 정권의 비인간적인 ‘연좌죄’ 제도부터 끝장내도록 압력을 넣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