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인권기록센터 내달부터 본격 업무

0:00 / 0:00

앵커: 11년만에 통과된 북한인권법의 시행으로 지난달 28일 북한인권기록센터가 개소했죠. 북한인권기록센터는 북한의 인권유린 상황을 간접적으로나마 개선하기 위해 설립됐는데요. 곧 업무에 돌입한다고 합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인권법이 시행되면서 설립된 통일부 산하 기관 북한인권기록센터가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센터는 북한인권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통일부에 따르면 센터는 북한인권과 관련한 조사를 통해 기록을 축적하고 이 내용을 법무부 산하 북한인권기록보존소에 3개월 마다 이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상당수 북한인권단체들은 센터의 역할에 대해 큰 기대를 하는 분위기입니다.

안명철 NK워치 대표: (북한인권기록센터가) 정식 업무에 들어가서 탈북자들과 북한인권 피해자들은 기대가 큽니다. 나중에 북한 반인도범죄자에 대한 처벌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여건을 맞춰 잘 진행됐으면 좋겠습니다.

센터의 본격적인 활동은 국가기관이 직접 북한 인권침해 사례를 조사하고 기록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북한인권 활동가들은 강조합니다. 통일 후 인권 범죄 가해자들에게 강력한 처벌이 이뤄질 것이라는 간접적인 경고가 전해진다는 겁니다.

한편 북한인권기록센터와 북한인권기록보존소 등 정부 산하 기관과 북한인권 관련 민간단체들 간 갈등이 빚어질 가능성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정부가 진행하지 않았던 북한인권의 실태조사와 기록을 민간단체들이 담당해왔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일부 북한인권단체들 사이에서는 정부 산하 북한인권 관련 기관과 민간단체 간의 활동 영역을 구분하고 조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