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서맨사 파워(Samantha Power) 주유엔 미국 대사가 북한 인권 문제를 이달 안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논의하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12월 유엔 안보리 순회 의장국인 미국의 서맨사 파워 대사는 1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달 안보리에서 논의할 주요 의제를 소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파워 대사는 북한 인권 문제의 안보리 논의도 추진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파워 대사: 우리는 북한 인권 문제를 논의할 회의 일정을 잡기 위해 기회(possibility)를 계속 엿보고 있습니다.
파워 대사는 지난해 12월 사상 최초로 유엔 안보리가 북한 인권 문제를 의제로 다룬 것에 큰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내 끔찍한(very grim) 인권 상황에 대해 국제사회의 이목을 최대한 집중시키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파워 대사는 이달 안에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다루는 일정을 잡을 수 있길 희망하지만 현 시점에서 아직 최종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서울에 유엔 북한인권현장사무소가 개소되고 열악한 북한 인권상황에 대한 증언이 추가되는 등 올해 여러 진전이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도 지난달 중순 한국을 방문해 북한 인권 문제가 12월 유엔 안보리에서 다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킹 특사는 당시 한국 언론과 회견에서 이같이 말하면서 인권 문제와 관련한 대북 압박이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지난달 유엔 제3위원회를 통과해 이달 중 유엔 총회에서 채택될 것이 확실시 되는 올해 북한 인권 결의안은 북한 인권과 관련한 안보리의 역할을 강화했습니다.
유엔 안보리가 인권을 포함한 북한의 상황을 계속 논의하고 이 문제에 대해 지속적이면서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것을 기대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입니다.
하지만 지난달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은 안보리가 북한 인권 문제를 다루는 데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만일 15개 안보리 이사국 중에서 북한 인권을 논의하는데 이의 제기가 있다면 투표가 실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럴 경우 15개국 중 9개국 이상이 찬성해야 논의가 가능한 데 지난해 12월에는 11개국의 찬성으로 북한 인권 문제가 안보리에서 논의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