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인권 개선위해 통일해야”

0:00 / 0:00

앵커: 남한의 민간단체가 한국 사람들의 '통일의식'을 설문 조사했습니다. 통일 이후 한반도의 통치 방안 등을 묻는 색다른 질문에 새로운 경향의 답변이 나와 눈길을 끌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한과 북한이 통일해야 하는 이유’를 묻는 말에 상당 비율의 한국인은 “북한주민의 자유와 인권보호를 위해서”라고 답했습니다.

이는 남한의 민간단체인 통일전략연구소와 시대정신이 진행한 ‘남한 국민의 통일의식’ 조사에서 나온 결과입니다.

“왜 통일을 해야 합니까”라는 질문에 “남북대결을 끝내기 위해서”라는 답변이 36%로 가장 많았지만 “북한 주민의 자유와 인권 보호를 위해서”라는 응답이 28%로 그 뒤를 이은 것은 “의미 있는 결과”라고 김윤태 통일전략연구소장은 평가했습니다.

김윤태 통일전략연구소 소장: 과거에는 통일의 이유로 '한민족이기 때문에', '분단 극복을 위해' 등 통일의 당위성을 내세웠다면 최근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젊은 대학생 등 청년층은 단순한 '분단 극복' 등을 넘어서 통일의 이유를 좀 더 구체적이고 내용적인 부분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이는 북한 주민들이 겪고 있는 ‘인권유린’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남한 사람들이 과거보다 많아졌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이외에도 통일 한국의 통치방안 등 남북통일 이후의 상황을 묻는 질문도 이어졌습니다.

응답자 10명 가운데 8명은 남북 당국이 통일초기에는 각각 남북을 분리통치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통일초기 북한 주민이 남한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제해야 한다는 응답도 70%를 넘어섰습니다.

이에 대해 김 소장은 “북한 주민들이 갑작스럽게 남쪽으로 이주할 경우 치안 문제나 실업률 등 사회적 혼란이 가중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통일 한반도의 수도 위치에 대한 질문도 나왔습니다. 응답자 두 명 중 한 명 가량은 서울 등 남한 지역에 수도가 위치해야 한다고 답했고, 25%가량은 휴전선 인근 남북 중간지대에 수도가 들어서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평양 등 북한지역에 수도가 있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5%에 불과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통일전략연구소와 시대정신이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남한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