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한 인권 제기에 북 핵위협 부적절”

0:00 / 0:00

앵커: 북한은 지난주 유엔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이 채택된 이후 연일 핵위협을 일삼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이러한 위협이 북한의 고립과 추가제재만 불러올 뿐이란 반응입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지난주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이 국제사회의 압도적인 지지로 채택되자 추가 핵실험 가능성을 내비쳤던 북한.

26일 관영 노동신문을 통해서는 미국과의 결전에서 핵무력을 남김없이 발휘할 것이라고 위협했습니다.

하루 전인 25일에도 핵선제 타격의 선택권이 북한에 있다는 사실을 미국은 직시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23일에는 국방위원회 성명을 통해 한국 청와대도 핵전쟁에서 무사하지 못할 것이라고 위협했습니다.

연일 계속되는 이러한 북한의 핵위협에 미국 정부는 매우 우려스럽다는 반응입니다.

미국 국무부의 한 관리는 2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인권상황에 대한 국제사회의 정당한(legitimate) 관심에 북한이 핵위협으로 대응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의 핵위협은 큰 우려를 자아낼 뿐 아니라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왜 필요한지 잘 설명해준다는 것입니다.

미국 국무부의 제프 래스키 공보과장도 이날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의 되돌릴 수 없는 핵무기 포기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래스키 공보과장: 미국과 국제사회 동반자 국가들은 지속적으로 북한의 비핵화 의무와 약속 준수를 촉구할 것입니다.

앞서 미국 국방부의 존 커비 대변인도 기자들과 만나 만일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국제사회에서의 고립만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의 핵위협에 프랑스 정부도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 제재 상황에 놓이게 될 것이란 게 필립 베르트 프랑스 정치 자문관의 지적입니다.

앞서 한국 통일부의 임병철 대변인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핵전쟁 위협 등 도발적 언동이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습니다.

임 대변인은 북한이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에 담긴 국제사회의 우려와 경고를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유엔의 권위에 도전하면서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핵전쟁 위협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