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에 설치가 추진되고 있는 유엔 북한인권 현장사무소의 개소 일정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보라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달 말로 예정된 유엔 북한인권 현장사무소의 개소 일정이 올해 2/4분기로 연기됐습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의 기욤 파이플레 사무관은 11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와 한국 정부 간에 아직 최종 의견 조율이 진행 중이며, 인사 채용이 마무리되지 않았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지연 사유를 설명했습니다.
북한인권 현장사무소 설치는 지난해 유엔 인권이사회가 채택한 북한인권결의안에 포함된 권고 사안 중 하나로, 사무소는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감시 강화와 기록 유지를 위한 현장 기반조직으로서의 역할을 맡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가 지난해 11월 유엔총회에 제출한 예산보고서에 따르면 현장사무소에는 총 6명의 직원이 근무하게 되며, 현장사무소 활동을 총괄할 소장으로 해당분야 경력 10년 이상의 P-5급 코디네이터 즉 조정관 1명이 배정됩니다.
그리고 북한 인권 상황을 감시, 분석하고 피해자와 목격자들을 인터뷰해 보고서와 문서 작업을 담당하는 경력 7년 이상의 P-4급 인권담당관 1명, 보고서 작성 지원, 동시통역과 번역 등을 맡는 경력 5년 이상의 P-3급 직원 3명, 이외 행정지원 1명 등이 현장사무소에서 일하게 됩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북한인권 현장사무소의 활동비로 2014-2015년 221만 달러, 2016-2017년 250만600 달러의 예산을 각각 책정했습니다.
북한인권 현장사무소는 서울시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에 자리하며, 그 동안 인권최고대표사무소와 한국 정부 간에 사무소 시설 임대와 관련한 계약과 양해각서 체결 문제가 진행돼 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