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미국의 존 케리 국무장관이 일본 측에 북일 협상과 관련한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국 국무부도 거듭 투명한 방식의 북일 협상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의 젠 사키 대변인은 지난 17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일본인 납치 문제와 관련한 북일 간 협상의 투명성을 거듭 지적했습니다.
사키 대변인: 미국은 일본이 투명한 방식(transparent manner)으로 납치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지지합니다.
하지만 사키 대변인은 최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전화 통화에서 북일 협상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는 보도와 관련한 질문에는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이미 밝힌 바와 같이 지난주 미일 외교장관이 전화통화를 갖고 양국과 지역 현안 또 협력 문제를 광범위하게 논의했고 미일 양국은 긴밀한 동맹국이라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또 사키 대변인은 여러 관련 보도가 있다는 것은 알지만 더 이상 밝힐 게 없다면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방북이 적절한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도 대답을 회피했습니다.
앞서 16일 일본의 교도통신은 케리 장관이 지난 7일 기시다 외무상과 전화 통화에서 아베 총리가 방북하면 한미일 3국 북핵 연대가 흔들릴 수 있음을 우려했다고 전했습니다.
케리 장관은 또 아베 총리가 방북할 경우 ‘직전 통보’가 아닌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했고 또 추가로 대북제재를 해제하는 데 있어 일본이 신중한 입장을 취할 것을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일 협상과 관련한 이러한 입장은 한국 정부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본을 방문한 한국의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지난 16일 일본 측 관리들과 만나 북일 협상이 한미일 대북 공조에 악영향을 줘서는 곤란하단 입장을 전달했습니다.
황준국 본부장: 핵과 미사일 문제에 대해서 한일 간, 그리고 한미일 3국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인식을 같이 했습니다.
한편 한미일 3국은 오는 8월 9일 미얀마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을 비롯한 아세안 관련 다자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갖고 대북정책 공조 문제를 논의할 일정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