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영국 의회에서 24일 탈북자 단체와 영국 의원 등이 북한 인권의 나아갈 바를 모색하는 토론회를 가졌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영국 의회 내 초당적 모임인 ‘북한에 관한 상∙하원 공동위원회(APPG North Korea)’는 24일 북한 인권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What Next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지난해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 보고서 발간 후 북한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 변화와 추후 활동 방안을 논의하는 행사입니다.
영국 의회의 데이빗 앨튼 상원의원과 피오나 브루스 하원의원 등과 인권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재 유럽 조선인 총연합회’ 김주일 사무총장 등 두 명의 탈북자 단체장이 발제자로 나섰습니다.
김 사무총장은 조사위원회 보고서가 발표된 지 1년 여가 지나면서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인식 변화나 개선을 위한 활동 등을 소개하고 탈북자의 관점에서 영국 정부와 국제사회의 행동을 촉구하기 위한 청문회 형식이었다고 밝혔습니다.
김 사무총장 : 영국과 유럽에 있는 탈북민 단체들의 입장에서 5개 항목을 제안했는데요. 그 중 가장 중요한 점은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재개돼서 북한 내 인권 유린 상황에 대해서 조사를 벌일 것을 권고하는 사항, 그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김정은과 북한 최고 지도부를 국제형사재판소에 제소하는 유엔 북한인권 결의안이 발의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중심이 됐습니다.
또 다른 발제자로는 이달 초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막된 제28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북한의 해외 근로자 강제노역의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는 한국의 인권단체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 가는 사람들’ 이른바 ‘성통만사’의 김영일 대표가 나왔습니다. 김 대표는 인권이사회 행사 후 영국으로 건너가 유수의 대학교에서 북한 인권 실태에 관한 강연을 한 후 마지막 일정으로 의회 청문회에 참석했습니다.
김영일 대표 :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있었던 이야기를 전달하고, 올해 저희 단체가 추진하는 북한의 해외 노동자 강제노역 실태에 대해 국제사회에 알리고 싶은 부분을 이야기한 후 앞으로 어떤 부문에서 중점적으로 활동할 지에 대해 다뤘습니다.
김 대표는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가 북한의 각종 인권 유린 실태를 방대하게 기록하고 있지만, 북한 근로자의 해외 강제 노역 실태에 관한 부분은 좀 더 보강할 필요가 있어 이를 주목하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 근로자가 해외에서 노예와 같은 강제 노역을 한 대가로 벌어들이는 막대한 외화로 북한이 독재 정권을 유지하는 ‘인권유린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