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 인권단체, 유럽 내 북 노동자 차단에 주력

0:00 / 0:00

앵커 : 폴란드 즉 뽈스까 등 유럽국가의 북한 노동자 고용을 근절하는데 앞장설 계획이라고 독일의 인권단체 '국제인권협회'가 밝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국제인권협회(IGFM)’의 마틴 레센틴(Martin Lessenthin) 대변인은 이 단체가 올해 유럽에 파견된 북한 노예 노동자들의 실태에 관한 조사 활동 등 북한 인권을 알리는 데 주력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레센틴 대변인 : 독일 의회의 인권·인도적지원위원회의 마티아스 짐머(Matthias Zimmer) 기독민주당 의원이 폴란드 크라쿠프 시장에게 노예 노동에 시달리는 북한 노동자를 고용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전달하는 등 저희와 함께 적극적으로 북한인권 개선에 나서고 있습니다.

레센틴 대변인은 약 1주일 전에 크라쿠프 측으로부터 북한 노동자 고용은 경제적 이유로 문제시 될 것 없다는 식의 답변을 들었다며, 핵과 미사일 개발로 국제사회의 평화를 위협하는 북한 정권의 주요 외화벌이 수단으로 등장한 해외 파견 북한 노동자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했습니다.

북한 당국은 전 세계 40여 개국에 약 5만명에서 6만명의 노동자를 파견해 현대판 노예와 같은 노동 착취를 통해 연간 1억 달러에서 3억 달러 가량의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레센틴 대변인은 최근 독일에서 북한의 인권과 핵 야욕 등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레센틴 대변인 : 핵 문제와 유럽 내 북한 노동자들의 노예 노동이 알려지면서 북한 실상을 알려는 독일인이 늘었습니다. 또 다른 계기는 북한 관광 중 억류돼 석방된 지 1주일도 못 돼 미국 대학생 오토 프레드릭 웜비어 씨가 사망했는데 그가 독일계 미국인이기 때문이죠.

레센틴 대변인은 지난 20일 이 단체가 주최한 북한인권 행사에서도 짐머 의원과 자신이 유럽 내 북한 노동자가 현지인들로부터 격리된 채 휴일도 없이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열악한 근로 조건에서 임금의 최대 90퍼센트까지 정권에 착취당하는 현실을 고발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 단체가 1970년대에 설립되면서부터 북한, 쿠바, 루마니아 등의 인권개선을 촉구해 왔는데 이 중 북한의 참담한 인권 실태만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독일의 인권단체 관계자도 유럽국가들이 핵과 미사일 자금에 유용되는 외화벌이에 나선 북한 노동자 고용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오는 9월 독일의 19대 연방의회 선거를 치른 후 새로운 내각이 구성되면 의원들에게 유럽 내 북한 노동자 문제 등 북한의 인권 실태를 알리고 개선 노력에 앞장서 주도록 촉구할 계획입니다.

오는 10월에도 독일 본(Bonn)에서 독한협회가 개최하는 북한인권 행사가 개최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