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의회 등 ‘북 여성 인권’ 공동 노력

0:00 / 0:00

앵커 : 영국 의회에서 다음달 중순 '북한 여성의 인권'을 주제로 한 토론회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영국 의회 내 초당적 모임인 ‘북한에 관한 상하원 공동위원회’가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보고서 내용 중 상대적으로 관심이 저조한 ‘북한 여성의 인권’을 주제로 다음달 14일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위원회 사무국의 제임스 버트(James Burt)씨는 2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데이빗 앨튼 의장과 피오나 브루스 의원 등이 북한 내 여성의 인권 유린과 탈북 여성들이 중국과 강제 북송 후 북한에서 겪는 고통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미국 하와이에 ‘분쟁 지역 여성인권 보호’ 단체(Women4NonViolence in Peace and Conflict Zones)를 설립한 일본계 미국인 벳시 가와무라(Betsy Kawamura) 대표가 추진하는 행사입니다.

가와무라 대표는 중국으로 탈출한 북한 여성들이 인신매매의 희생양이 되면서 겪은 성차별, 성폭력 등을 숨기려 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심각한 인권유린이 국제사회에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날 토론회에는 함경북도 청진 출신 강지영 씨 등 영국에 정착한 두 명의 탈북 여성의 증언도 있을 예정입니다. 강 씨는 두 번의 강제북송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 감옥에서의 인권유린과 북한 내부에서의 여성의 인권 침해를 고발하게 됩니다. 또한 영국인과 네덜란드 즉 화란인 등이 주축이 된 북한인권단체 ‘유럽연합-북한인권(EAHRNK)’의 박지현 간사는 중국 내 탈북 여성과 중국인들 사이에 태어난 무국적 자녀들에 대해 증언할 계획이라고 2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박 간사 : 이번에 강조하고 싶은 것은 정확한 숫자는 모르지만 중국에 2만 여명의 국적 없이 사는 아이들이 있다는 것을 얘기 하려는 데요. 세계에서 입양이 많이 이뤄지고 있잖아요. 그 아이들 입양문제를 제기해 봤으면 하는 생각을 (행동으로) 추진해보고 싶어요.

중국 정부가 협조한다면, 중국인과 탈북여성 사이에 태어난 뒤 엄마의 강제북송으로 고아처럼 사는 무국적 자녀를 입양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고 박 간사는 지적했습니다.

박 간사는 지난 15일에도 유럽연합-북한인권이 ‘탈북여성의 인신매매’에 관한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토론회에는 인신매매 방지를 위한 인권단체(Stop the TraffiK)의 대표인 루스 디언리(Ruth Dearnley)와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UN COI)의 시오반 홉스(Siobhan Hobbs) 고문 등이 참석했습니다.

박 간사는 북한 ‘여성의 인권 개선’이야 말로 북한의 모든 인권 유린을 개선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