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는 한국전 포로와 실종자, 그리고 납북자 문제의 해결을 촉구하는 미국 의회의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18일 태국 방콕에서 열리는 미군 유해 발굴 재개를 위한 미국과 북한 간 협상에서 한국전 미군 포로의 생사 확인 문제도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의회 소식통이 17일 밝혔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의회 소식통은 행정부가 북한 지역에서 실종된 미군 유해의 발굴 재개와 함께 미군 포로의 송환 문제도 의제로 다루라는 압력을 의회로부터 받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습니다.
이번 미군유해 발굴 재개를 위한 미북 양국 간 협상에는 미국 측에서 국방부와 국무부의 동아태국 소속 부차관보급 관리와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 실종자 확인 사령부 소속 현역 장교 등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회담에서 미국 측이 미군 포로 송환 문제를 북한 측에 제기할 지는 즉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의회를 중심으로 한국전 포로와 납북자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어 주목됩니다.
리처드 루거 상원의원은 지난 달 말 의회조사국(CRS)이 한국전 포로, 실종자 확인 현황에 관한 종합 보고서를 제출한 직후 성명을 통해 생존 미군 포로의 송환 문제를 북한과 논의하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상원 외교위원회 공화당 간사인 루거 의원은 “미국과 북한 간 미군 유해 발굴 재개를 위한 어떠한 협상도 한국전 미군 포로의 송환 문제를 포함하지 않으면 완전하다고 볼 수 없다”면서, 규모가 밝혀지지 않은 국군 포로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북한에 억류돼 있다고 한국 정부가 추정중인 점을 언급했습니다.
의회 소식통은 루거 의원이 이미 커트 캠벨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와 로버트 킹 북한인권 특사, 그리고 국방부 관리 등에게도 미군 생존 포로 문제의 의제화를 요청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일레나 로스-레티넌 하원 외교위원장도 최근 한국의 6.25 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미일 이사장과 만난 자리에서 지난 7월 발의된 한국전 포로, 실종자, 납북자 문제 해결 결의안의 의회 통과를 약속했습니다.
로스-레티넌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한국전 납북자 문제의 심각성에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며 이같이 약속했다고 이미일 이사장이 전했습니다.
[
이미일 이사장
] 미군 실종자, 한국군포로, 한국전쟁 납북자 이렇게 세가지 내용을 담아서 결의안을 발의한 것을 (상정을) 추진해서 가능하면 이번 회기 내에 통과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이번 회기 내에 그렇게 할 수 있다고 해서 저희들은 상당히 고무됐습니다.
미국 의회 상하원 지도부의 한국전 포로, 실종자, 그리고 납북자 문제의 해결 촉구가 곧 있을 미국과 북한 간 미군 유해 발굴 재개를 위한 회담에서 어떤 방식으로 결실을 맺을 지 주목됩니다.